![]() |
이날 참가 단체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에 나서고 있다. 사진=예총 및 민예총 제공. |
예총과 민예총은 이날 오전 10시 보람동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단 대표이사 임명 과정에서 발생한 심각한 절차적 하자와 공정성 훼손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라며 "감사원의 감사 결과 불공정한 절차가 확인됐음에도, 세종시는 인정하는 척만 하며 변명과 책임 회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가 감사원 결과와 세종시의회 이순열 의원의 입장문 발표 이후 유감 표명과 함께 재단 직원 3명에 대한 징계 조치에만 나서겠다는 데 대한 문제 인식이다. 앞서 시의회도 최 시장의 직접 사과와 집행부의 책임 있는 태도를 요구했으나, 시는 이 점에 대해선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들 단체는 "대표이사 임용 과정이 투명성과 공정성 없이 진행됐다. 이 때문에 박근혜 정부 시절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한 '업무 견책', '입건 유예' 처분을 받은 인사가 버젓이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며 "더욱이 자기검증기술서가 임원추천위원회에 제출되지 않은 채 심사가 이뤄졌다. 이는 명백한 절차적 하자다. 세종시 행정의 신뢰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문제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자기검증기술서 미제출 : 불공정 행위, 단순 행정 실수 사안 아님 ▲감사원 지적 사항 인정 후 관련 규정 준수란 모순된 주장, 시민 기만, 무책임 행정 ▲세종시 재심 청구 검토, 현 대표이상 임용 유지 의도 등의 문제도 꼬집었다.
즉각 시정 조치와 함께 공정한 절차로 새 대표이사를 선임해야 한다는 게 이들 문화계 단체의 입장이다.
예총과 민예총은 "우리는 이러한 부당한 인사 결정을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즉각적인 재검토를 강력히 촉구한다"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올바른 문화 행정을 실현해야 한다. 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를 즉각 이행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감사원 감사 결과의 왜곡 없는 인정, 대표이사 임용 철회, 최민호 시장의 책임 인정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임추위 구성원에 문화예술계 추천 인사 포함 등의 추가 요구사항도 쏟아냈다. 특정 정치적 배경과 이념이 아닌, 오직 문화예술 발전과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해 헌신할 인물을 원한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