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조차장역 전경. (사진= 대전시) |
그동안 철도가 도심을 동서로 단절한 탓에 각종 개발사업이 제약을 받아왔는 데 이날 발표가 원도심 새 도약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다만, 앞으로 이전 구간과 재원 확보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속도감 있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조차장역 개발 사업이 정부의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에 선정되면서 올해 상반기 내에 사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한다.
대전조차장 지하화 사업의 핵심은 이전 부지를 활용해 도심 내 신성장 거점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현재 역사를 도심 외곽으로 이전, 이를 통해 확보한 약 38만㎡ 규모 용지는 1조 4000억 원을 들여 청년 창업과 빅테크 등 IT 관련 특화지구로 활용한다는 게 현재 구상이다.
역이 옮겨간 일부 철로 위에는 인공 데크를 설치한다. 현재 조차장역에는 76개의 선로가 있는데 이 중 4개 철로 위에 데크를 올리고 나머지 철로를 해체해 부지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그간 해당 구간에 대한 재개발 방안이 지속 건의됐지만 이렇다 할 대책을 찾지 못하자 주민 불편이 커졌다. 실제로 행정당국이 대전 시민을 2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90%의 응답자가 정주 여건 개선과 동서 단절 극복 등의 이유로 개발을 찬성해왔다.
수십 년 넘게 공회전해온 조차장역 개발이 추진되면서 많은 기대가 모인다. 그간 조차장역으로 인해 도심 내 동서 단절, 개발 제한, 인근 슬럼화까지 가속화됐기 때문이다.
조차장역의 이전은 효자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과 더불어 대화동 등 인근 재개발 사업의 호재로도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관련 사업이 최근 침체를 겪는 대전 구도심권 부동산 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을 촉진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모이고 있다
이장우 시장은 "이번 선정으로 지역숙원사업을 해결하고, 철도로 단절된 지역을 재구조화 하여 대전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원도심의 활력 회복 및 도시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기대했다.
이번 선도 사업 선정으로 개발의 신호탄을 쐈지만, 앞으로 해결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
당장 역을 옮길 부지부터 찾아야 한다. 대전시는 대전철도차량정비단(대덕구 평촌동)으로의 이전을 일단 선정해놨지만, 관련 부처들과의 협의가 중요하다. 기본계획 용역 발주 이후 철도공단과 철도 공사와 접촉해 부지를 선정해야 하다 보니 현재 예상지역으로 지정해 놓은 부지로 옮겨갈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재원 확보도 필요하다.
2024년 국회를 통과한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 시행으로 상부 개발을 통한 이익금으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국토부는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지로 선정한 3개 지역은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한 규모이고,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라고 설명한다. 즉, 정부나 지자체가 아닌 민간에서 대규모의 재원을 감당해야 해 사업비 등 예산을 마련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기본 계획을 통해 상부 개발을 어떤 방식으로 할지 정해야 한다"라며 "이후 사업비가 충분히 나올지, 부족한 금액이 있다면 어떻게 충당할지 방향을 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지윤·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