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도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는 대전조차장. (사진= 국토교통부) |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철도 지하화 사업을 통해 침체 됐던 건설 경기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19일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하고,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 지역을 최종 확정했다.
얼어붙은 지방 건설경기를 녹이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철도 지하화 사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이번에 선정된 구간은 대전과 부산, 안산이다.
철도 지하화는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지상 철로를 지하화하거나 인공지반(데크)으로 덮고, 지상 부지를 주거·상업 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3개 지역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구간, 사업비 분담 논의를 마친 곳이다. 총사업비는 4조 3000억 원 규모로 올해 상반기 중 지하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로써 대전은 조차장역 이전과 확보 부지의 개발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대전조차장을 외곽으로 옮기고 이 구간 경부선 선로 2.4㎞를 지하화한다. 이에 따라 37.8만㎡의 업무 복합 용지가 개발된다. 사업 규모는 1조4000억 원이다.
초기 사업 계획 당시 대전시는 경부선(18.5km)과 호남선(14.5km), 대전선(3.5km) 등을 지하화하려 했으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에서 대전역과 조차장 역사만 지하화하기로 변경한 바 있다.
이후 바뀐 계획을 두고 일각에서는 경제성 확보 가능성 등에 우려가 나오긴 했으나, 조차장역 이전을 통해 확보한 부지를 지역 신성장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짜여지자 정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대전시가 제시한 '상부 데크화'를 중심으로 한 입체화 개발 방식을 두고 일부 심사위원들로부터 파급력이 높을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선도 사업이 확정되면서 지역 사회에서도 반색을 표하고 있다.
단순 지역 간의 연결이 용이해지는 것을 넘어 인근 개발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이번 사업 추진으로 동서 단절 문제 극복은 물론 새로운 경제 거점 형성 등 대덕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대덕의 발전과 지역경쟁력을 강화해 '살기 좋은 대덕, 구민의 일상이 행복한 대덕'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정부 역시 이번 철도지하화 사업을 시작으로 불황의 늪에 빠진 지역 건설업계를 보강할 것이라고 판단,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역투자 활성화를 위해 지역 개발사업을 확대하고 토지이용을 효율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