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의자 A(48)씨의 핸드폰 포렌식 자료와 컴퓨터 자료, 의료기록 등을 분석 중인 경찰이 피의자의 여러 검색 기록과 범행 정황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계획범죄에 무게가 실린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한 것이다.
범행 당일 자해 행위로 인한 목 부위 정맥 손상에 봉합 수술을 받은 A씨는 중환자실 입원해 산소호흡기를 착용 중이다. "의식은 있지만 직접조사가 불가능한 상태"라는 의료진 소견에 따라 경찰의 대면조사도 지연되고 있다.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기 전 초기 진술을 한 A씨는 산소호흡기를 착용하다 상태가 호전돼 잠시 산소호흡기를 뗐는데, 이때 한차례 단답형으로 경찰에 추가 진술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혈압이 올라 다시 상태가 악화돼 산소호흡기를 재 착용했다. 경찰은 병원에 인력을 배치해 A씨의 상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담수사팀은 A씨의 몸 상태가 호전되는 대로 대면조사를 진행하고, 구체적인 계획성 여부나 동기에 대해 추가적인 수사를 통해 명백히 밝힐 예정이다. 그동안 A씨의 정신질환이 우울증이 아닌 조현병, 망상장애일 것이란 가능성도 제기됐는데, 필요시 의학적 자문도 검토하겠단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날인 2월 17일 경찰청(본청) 국가수사본부가 A씨의 신상공개에 대해 검토 중이라 밝힌 것에 따라 신상공개에 필요한 실무 자료들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다. 피의자 신상공개는 범죄의 명백성, 잔혹성, 사회적인 범죄 예방 효과 등을 따져 시도 경찰청에 심의위원회를 꾸려 여부를 결정한다. 다만 아직 피의자 대면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신상공개가 결정된다고 해도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전담수사팀 관계자는 "현재 프로파일러를 투입해 수사 중이고, 증거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계획적 범행이라 짐작할 수 있는 유의미한 부분들을 포착했다"며 "신상공개에 대해서도 아직 공개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필요한 실무 자료들을 미리 준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