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일 단국대에 따르면 색 변환 형광 소재는 주로 센서, 위조방지 잉크, 정보저장 소자 등에 사용되며 색 변환을 위해서는 기계적 자극으로 압력을 가하고 열처리를 통해 색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색 변환에 활용되는 유기형광체는 다형체 결정 구조에 따라 형광색이 변화하는데 다형체 구조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지만, 열처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정보 표기 공정에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조 교수팀은 전기장을 이용해 실온에서도 녹색과 청색으로 변화가 가능한 형광색 변환 기술(기술명 E-field-chromism)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조병기 교수는 "전기장을 이용한 형광체 색 변화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접근법"이라며 "실온에서 다형체간의 형광색 변환을 통해 에너지 소비와 처리 방법을 혁신적으로 단축했다"고 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