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신보조금 미끼 전국적인 유심 개통 사기 범죄 범행 흐름도 |
충남경찰청(청장 배대희)은 '2024년 4월부터 11월까지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유심칩을 개통하면 정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고 모집한 사람들 명의로 유심칩을 개통한 후, 고가의 단말기 구입해 장물업자를 통해 판매하고, 모바일 소액결제, 인터넷 및 IPTV 가입, 유심 재판매 등으로 현금화한 혐의로 모집 총책 A씨, 현금화 총책 B씨 등 11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3명을 구속했다고 18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 일당은 통신보조금을 미끼로 피해자 명의 유심을 개통한 후, 보통 3~4대의 최신 휴대폰 할부 매매, 게임아이템 소액결제, 인터넷 가입 등으로 범죄수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그 피해자 수만 약 460여 명에 이르고, 총 36억 상당의 재산상 이익을 얻었으며 이로 인해 피해자들은 막대한 채무부담으로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통신기기에 취약한 고령층을 범행 대상으로 가명을 써서 신분을 위장한 뒤, 서산, 청주, 속초 등 각 지역별로 하위 모집책을 두고, 피해자 1명당 10~15만 원 수당을 주었으며, 피해자들에게 정부 지원금인 것처럼 피해자의 계좌로 돈을 송금, 주변 사람들에게도 소문을 내게 하는 등 치밀하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범행을 저질러 온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모집총책, 현금화 총책 등 주범 및 공범들을 차례로 검거하고 범행 가담 정도에 따라 총책 등 3명을 구속했으며, 은신처에서 발견된 7,000여만 원 상당의 현금과 휴대전화 공기계 20여 대 등 총 1억 원 상당을 전부 압수했고, 검거된 일당들에 대한 철저한 여죄수사와 더불어 공범에 대한 추적수사를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통신보조금 등 자금 제공을 조건으로 휴대전화 개통을 유도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고령층은 이러한 사기의 주요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변에서 유사한 제안을 받는 경우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사건은 고령자 대상의 범죄가 얼마나 조직적이고 치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지역 사회의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피해자는 "서민들을 대상으로 사기 행각을 벌여온 일당들이 붙잡혔다니 정말 다행"이라며 "앞으로 이 같은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엄벌로써 재발 방지 등에 각별히 신경 써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