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성구는 최근 구청 회의실에서 업사이클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사진= 대전 유성구) |
17일 유성구에 따르면 최근 '유성구 업사이클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업사이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연구용역 보고회에서는 ▲유성구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업사이클 관련 구축 사례 및 국내 공공선별장 운영 사례 ▲유성구 업사이클 활성화 체계 구축 방안 ▲유성구 공공선별장 설치 및 운영 방안 등이 보고됐다.
이 가운데 유성구 업사이클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으로 자원 순환율 제고 및 소재 확보를 위한 공공선별장 구축, 업사이클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 업사이클 문화 확대 등 3단계 방안이 도출됐다.
먼저 재활용 쓰레기 처리의 민간 의존도를 줄이고, 분리수거 배출 폐기물에서 재활용 가능 자원을 최대한 확보하는 등 업사이클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1단계로 공공선별장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규 재활용 선별시설의 처리 용량은 1일 33t 정도로 맞출 경우 전국 17개 시·도의 공공처리 의존도(18%)를 달성하는 적정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단계로 공공선별장을 통해 업사이클 소재를 쉽게 확보할 시 관련 창업 지원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업사이클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3단계로는 업사이클 센터 구축, 협력 네트워크 형성, 지역 커뮤니티 참여 촉진, 업사이클 마켓 구축 등 업사이클 문화 확대에 주력해야 한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연구용역을 통해 발굴된 중장기 및 단기 과제를 면밀하게 검토해 지역 실정에 맞는 실천 과제를 발굴, 시행에 들어가야 한다"며 "유성구를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로 만드는 데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