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진동 방축천의 특화 상권으로 주목받은 엠브릿지는 현재 도심의 흉물로 전락하고 있다. 방치된 내부 기자재와 낡은 홍보물이 그대로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본사도 아닌 하나의 지점 설치에 목소리를 높인 것을 두고 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으로서 적절치 않았다는 비판이 쏟아지는가 하면, 맥도날드 프랜차이즈란 상징성을 토대로 행복도시의 현주소를 개선하고 새로운 발전 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교차하고 있다.
실제 2월 14일 김재형 의원 발언과 중도일보 등의 언론매체 보도가 이어지고, 지역 커뮤니티에선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김 의원은 2022년 지방선거에서 맥도날드와 잡월드 등 다양한 기능 유치를 약속했다.
![]() |
맥도날드의 전 세계 입점 지도. 사진=시민 A 씨 제공. |
이에 반해 맥도날드 발언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는 측에선 '맥날 조건에 맞춰 유치하라고 하니 욕을 먹는 것' '상임위원장 입장에서 편협된 접근' '차라리 세종시에 없는 시설 전반을 함께 거론하는 편이 공감대를 더욱 크게 형성했을 것' 등의 지적을 내놨다.
이 같은 양측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맥도날드 논란'은 세종시 행복도시의 현주소를 다시금 수면 위에 끌어올리고 있다.
근본적인 원인은 ▲거품 양산과 소상공인의 부담을 키운 '최고가 낙찰제'의 폐해 ▲인구 39만여 명에 머물며 정체되고 있는 세종시 ▲과도한 상가 공급 여파 속 전국 최고 수준의 공실률 여전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용도 규제'의 늪 ▲멈춤 없는 인서울 현상과 수도권 과밀 해소 요원 등에서 비롯한다.
![]() |
대전 둔산동 갤러리아 백화점 전경. 세종시민들은 여전히 마땅한 유통시설이 없어 역외 소비로 나아가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14년 째 방치되고 있는 가람동 이마트 옆 유통부지, 나성동 717 상업용지(전문건설공제조합)와 어진동 C18 상업용지(한림건설), 어진동 언론단지 3필지(미매각) △견본주택이 흉물처럼 자리 잡고 있는 대평동 종합운동장 부지 활성화 지연 수년째, 이로 인해 맞은편 대평동 유령 상권 전락 △소담동 운전면허시험장 부지 활용안 미궁 △집현동 농수산물 유통 부지 하세월 △새롬동 및 반곡동 체육시설 부지 활용 부재 △나성동 백화점 및 위락시설 부지 등 주요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무조건적인 특혜가 아니라 동맥경화 현상을 풀 수 있는 적극 행정이 반드시 필요한 2025년을 맞이하고 있다.
시민들은 맥도날드란 상징적 프랜차이즈와 함께 복합 쇼핑몰과 관광 하드웨어 시설, 운전면허시험장, 차량 정비소, 주요 아웃도어, 아웃백과 빕스 등 패밀리 레스토랑, 예식장, 프리미엄 영화관, 과학관, 방송사, 시립미술관, 소극장 등 도심 생활에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춰지길 고대하고 있다.
집현동의 한 시민은 "붕어빵 가게가 들어선 것을 두고 '붕세권이 드디어 형성됐다'라는 대화가 오갈 정도다. 신규 생활권에선 최근 다이소 등의 입점만으로도 열광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세종시는 다양한 기능들이 한데 어우러진 도시로 성장해야 수도권으로 쏠린 시선을 돌려세울 수 있다.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선도도시이자 국책사업 도시이기 때문"이란 의견을 피력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김재형 시의원은 2월 14일 본회의를 통해 이와 관련한 5분 발언에 나섰다. 사진=시의회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