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수도권을 탈피해 3년 연속 대전에서 열리게 됐다. 대전에서의 과학축제 효과는 수도권 성적을 능가하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의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의 대전 개최 효과 분석'에 따르면 4일 간 방문객은 48만9507명으로, 코로나19 이전 서울 개최(32만3765명) 대비 50% 이상 급증했다. 경제 등 파급 효과가 확인되면서 대전을 '대한민국 과학축제'의 고정 개최지로 삼아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받고 있다.
대전시는 독자적으로 개최한 사이언스 페스티벌을 '대한민국 과학축제'와 함께 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정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통합 개최가 가능해졌다. 지난해 10월 과학축제와 별도로 개최한 사이언스 페스티벌에도 28만여 명의 방문객이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민국 과학축제'를 3년 연속 대전에서 여는 것은 분산 개최에 따른 비용 및 파급력을 감안한 결정으로, 정부가 차제에 대전을 고정 개최지로 정했으면 한다.
최근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은 국가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우고 있다. 정작 한국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논란에 우수 인재가 해외로 유출되고, 의대 쏠림이 심해지며 과학기술의 '퇴행'을 걱정할 처지가 됐다. 정부출연연 등 대전의 과학기술 및 산업 역량은 국가 차원에서 육성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올해 4월에 개최되는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전기가 되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