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AI 컨택센터 도입, 기업 전략은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AI 컨택센터 도입, 기업 전략은

박남구 (사)대전시컨택센터협회장

  • 승인 2025-02-17 17:00
  • 신문게재 2025-02-18 1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박남구 회장
박남구 (사)대전시컨택센터협회장
AI를 활용한 고객 상담 서비스가 최근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산업군에서 AI 컨택센터(AICC)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AI 컨택센터는 기존의 상담원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고객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AI 도입이 모든 컨택센터 기업에 만능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I 컨택센터는 기존의 콜센터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동화된 고객 응대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AI 챗봇과 음성봇을 활용해 상담을 자동화하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응대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융이나 보험, 통신, 전자상거래, 헬스케어 등 고객과의 접점이 많은 산업 분야에서 AI 컨택센터의 도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KT, SKT, 네이버 클라우드,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등이 AI 컨택센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Amazon Connect, Google Cloud Contact Center AI, Microsoft Dynamics 365 Customer Service, Genesys 등이 활발히 경쟁하며 차별화를 외치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AI 컨택센터 도입은 비용 절감 및 운영의 효율성 증가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컨택센터 운영에는 막대한 인건비가 소요되지만, AI 컨택센터를 도입하면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AI 챗봇과 음성봇은 24시간 365일 운영 가능하며, 반복적인 문의에 대해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어 상담원의 전화응대에 대한 부담을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AI 컨택센터는 고객 문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가장 적절한 답변을 즉각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객들의 상담 대기 시간이 줄어들며, 다수의 고객을 동시에 응대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것이다. 또한 AI 컨택센터는 전화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모바일 앱, SNS, 이메일 등 다양한 채널과 연동되어 고객이 어느 플랫폼을 이용하든 일관된 응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AI 컨택센터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이 AI 컨택센터를 도입하기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단점과 해결 과제를 살펴보면, AI가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는 영역은 주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질문에 국한된다. 고객의 불만 처리, 감정적인 위로가 필요한 상담, 복잡한 문제 해결 등의 영역에서는 아직까지 상담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AI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AI와 상담사가 협력하는 융?복합 상담 솔루션이 중요해지고 있다. AI 컨택센터를 도입하려면 초기 개발 및 많은 구축 비용이 소요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의 시스템과의 통합 과정에서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력과 자원이 필요할 수 있다.

AI 컨택센터는 고객의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만큼 보안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 유출이나 해킹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기업의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AI 컨택센터 도입 시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부 고객들은 AI 상담원과의 대화보다 인간 상담원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선호한다는 연구가 뒷받침을 하고 있다. 특히, 중장년의 고객층이나 디지털전환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의 경우 AI 컨택센터를 불편하게 느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AI 컨택센터는 단순한 비용 절감 도구가 아니라, 기업이 고객과의 접점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지만, 기술의 한계를 고려하여 미래의 컨택센터는 AI 상담원과 인간 상담원을 적절히 병행하는 융복합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