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취업자 증가속 건설업은 고용 부진 '심화'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1월 취업자 증가속 건설업은 고용 부진 '심화'

1월 취업자 2787만 8천명으로 전년比 13만 5천명 증가
건설업 16만 9천명 감소…2013년 이후 가장 큰 폭 감소
건설기업 폐업도 증가 영향… 작년 폐업신고 641건 달해

  • 승인 2025-02-16 11:48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연령계층
연령계층별, 산업별 취업자 현황. 사진=통계청 제공.
1월 취업자 증가 속 건설업은 불황 여파로 고용 부진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15~29세 취업자도 큰 폭으로 줄어 청년 고용 상황도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 8000명으로 1년 전(2774만 3000명)보다 13만 5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11만 9000명 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 8000명), 정보통신업(8만 1000명) 등도 취업자가 늘었다.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가 줄었던 것이 직접·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회복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16만 9000명 줄며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건설업은 9개월째 줄면서 감소폭도 커지는 모습이다. 이는 고금리 부담, 공사 물량 위축 등 건설 경기 불황 영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업 취업자 감소는 건설업의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건설 경기의 침체가 지속하면서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 건수가 2024년 641건에 도달하며 1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폐업신고는 2023년보다 60건(10.3%) 늘어났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폐업 업체 수는 증가하고 등록업체 수는 위축되는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등 전형적인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제조업 취업자도 5만 6000명 줄었다. 반도체 수출 호황에도 작년 7월부터 7개월째 감소세다. 도소매업 취업자도 9만 1000명 줄며 11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설 연휴 등 영향으로 감소 폭은 전달(9만 6000명)보다 다소 축소됐다.

연령별 취업자를 보면, 60세 이상·30대가 각각 34만 명, 9만 8000명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21만 8000명 줄며 2021년 1월(-31만 4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50대는 건설경기 악화, 내수 부진 등 영향으로 건설업·부동산업·도소매업에서 고용이 부진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실업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만1000명 늘어난 108만 3000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가)세종사랑운동' 기대반 우려반...행정수도 도약의 버팀목 될까
  2. 유효상 보령축제관광재단 신임 축제관광국장 부임
  3. 세종시, 지역 대학과 손잡고 라이즈(RISE) 사업 본격 착수
  4. 대전시의회 정명국, 문화예술 메세나 활성화 논의… "공감대 확장 & 행정적 지원 필요"
  5. 세종충남대병원, 혈액투석 평가 1등급 획득
  1. 유주현 한국영상대 총장 취임...글로벌 도약 이끈다
  2.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 성공 개최 발걸음 지속
  3. 세종시 '대중교통의날' 이벤트...문화공연과 연계
  4. 한국 정원문화의 중심 '세종시'에서 세계로 간다
  5. 2025년 대전사랑메세나 신년회

헤드라인 뉴스


14년 흉물 대전 현대오피스텔, 정비사업마저 `지지부진`

14년 흉물 대전 현대오피스텔, 정비사업마저 '지지부진'

대전역과 복합터미널을 잇는 중심에 위치하고도 지난 14년간 속 빈 건물로 남은 동구 성남동 현대그랜드오피스텔이 재건이냐 폐허로 그대로 방치되느냐 중요한 시간을 맞이했다. 국토교통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정비사업 대상지이지만, 사업시행에 필요한 소유주 동의율이 부족해 아예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지상 18층의 화약고 같은 위험을 청산하고 정비사업을 시행해 지역 자산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14년 넘게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된 대전 동구 성남동 현대오피스텔이 5년 전부터 시행 중인 정비사업마저 지..

[르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직접 방문해보니… 인피니티 풀이?
[르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직접 방문해보니… 인피니티 풀이?

20일 대전 중구에 위치한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새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다음 달 5일 개장식에 앞서 대전시가 이날 지역 언론사 기자 등 100여 명을 초청 프레스데이를 연 것이다. 야구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야구 모자와 배트를 든 꿈돌이와 꿈돌이 가족이 방문객을 반갑게 맞이했다. 꿈돌이 가족을 본 참석자들은 "귀엽다"는 말을 연신 내뱉으며 사진을 찍었다. 볼파크는 지하 2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6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날 투어는 4층부터 시작됐다. 4층은 볼파크의 최고층으로 야구장 전경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가 동기들과 함께 졸업의 순간을 맞았다. 패션을 통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던 꿈 많던 대학생은 이날 학사모를 쓰지 못했지만, 그가 사랑했던 캠퍼스는 빛나던 열정을 기억하며 명예졸업을 선사했다. 목원대는 20일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갖고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에게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했다. 참사 가영씨는 당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었고, 올해 23세가 된 그의 동기들은 졸업을 한다. 가영씨는 중학교 시절 TV에서 목..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