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12대 주요 신선과일 수입액은 2023년(12억 500만달러)보다 20.1% 증가한 14억 4700만달러(2조 899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12대 신선과일은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아보카도, 포도, 키위, 체리, 석류, 블루베리,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이다. 2024년 수입액은 2018년에 기록한 직전 최대치인 13억 3200만달러보다 8.6% 많다. 신선과일 수입액은 농산물 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2018년까지 증가세였다. 그러나 이후 엘니뇨로 주요 산지에서 과일 작황이 부진한 상황이 펼쳐졌다. 또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에 선반 운임이 상승하고 배송 일정이 지연되는 등 물류 문제가 겹치면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러다 2023년과 작년 국내에서 수입 신선과일 수요가 늘면서 수입액이 2년 연속 증가했다. 수입 과일 수요 증가는 국산 과일 생산이 줄어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대체 과일을 공급하고자 수입 과일에 할당관세 적용을 확대했다.
2023년에는 봄철 저온과 여름철 폭염 등 이상기후로 사과, 배 등 과일 생산이 감소하면서 값이 올랐다. 2024년에도 가을철까지 이어진 폭염 여파에 유통할 수 있는 배와 귤 물량이 감소했고, 이에 일부 과일 가격은 높은 수준을 보였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2024년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458개 중 전년 대비 물가 상승 폭이 가장 큰 품목은 배(71.9%)였고, 귤(46.2%)이 그 뒤를 이었다. 감(36.6%), 사과(30.2%)도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에 따라 과일 수입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은 "장기적으로 과일 재배 면적 감소와 함께 이상기후 반복으로 국산 과일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에 따라 신선과일 수입량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경연은 '농업전망 2025' 보고서를 통해 올해 신선과일뿐 아니라 건조·냉동 과일까지 모두 합한 전체 과일 수입량이 작년보다 6.8% 증가한 81만 7000톤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경연은 2034년 과일 수입량 전망치를 86만 5000톤으로 제시하면서 연평균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