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 졸업시즌 "새로운 출발을 축하합니다"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지역대 졸업시즌 "새로운 출발을 축하합니다"

국립한밭대, 우송대, 한남대 14일, 건양대 13일 2024 전기 학위수여식
배재대와 목원대는 20일, 대전대 21일, 충남대는 25일 졸업식 예정돼

  • 승인 2025-02-16 10:20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졸업생들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합니다. 도전과 실패 속에서 성장하며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

졸업시즌을 맞아 지역 대학가 곳곳에서 학위수여식이 열렸다. 졸업생들의 새로운 첫발을 응원하며 꽃다발을 전하는 사람들과 학위 가운을 입고 학사모를 던지는 학생,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는 졸업생들로 모처럼 대학 캠퍼스에는 활기가 넘쳤다.

국립한밭대, 우송대, 한남대는 2월 14일, 건양대는 13일 '2024학년도 전기 학위 수여식'을 가졌다. 배재대와 목원대는 20일, 대전대는 21일, 충남대는 25일 졸업식이 예정돼 있다.

한밭대
국립한밭대는 14일 교내 아트홀에서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으며, 전자공학과 학생들이 졸업을 자축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밭대 제공
국립한밭대는 14일 교내 아트홀에서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자는 박사 12명, 석사 177명, 학사 1565명 총 1754명이며, 최우수·우수논문상 40명, 학업우수상 43명, 공로상 7명, 한밭인재인증상 4명, 외부기관상 3명 등을 포상했다.



오용준 총장은 졸업생들에게 "경쟁에 휘둘리지 말고 남과의 비교에 흔들리지 않으며, 자신만의 속도로 자신만의 목표와 가치에 따라 나아가길 바란다"며 "세상의 틀에 맞추기보다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용기를 가지길 바라며, 변화와 불확실성을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 속에서 배우고 실패 속에서 성장하라"고 전했다.

건양대
13일 오후 건양대 창의융합캠퍼스에서 열린 제31회 전기학위수여식 단체 기념사진. /건양대 제공
건양대는 13일 오후 논산 창의융합캠퍼스 건양문화콘서트홀에서 설립자 김희수 명예총장과 김천중 건양교육재단 이사장, 김용하 총장을 비롯한 교수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31회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박사 15명, 석사 173명, 학사 1360명 등 총 1548명의 학위자를 배출했다.

김용하 총장은 "건양에서 만난 교수, 동기, 선후배와의 인연은 훗날 여러분이 힘들 때 손을 잡아주는 무형의 자산인 네트워크가 될 것"이라며 "건양대가 가진 가장 큰 자산은 바로 학생이라는 믿음 아래 우리 대학도 강철같은 건양의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우송대_전기 학위수여식
14일 열린 우송대 우송예술회관에서 열린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우송대
우송대는 14일 학사 1626명, 석사 151명, 박사 21명 등 총 1798명을 대상으로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오전 11시 우송예술회관에서, 석·박사 학위수여식은 오후 2시 우송도서관 강당에서 진행됐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2+2 복수학위 과정을 이수해 해외대학과 우송대에서 모두 학위를 받는 복수학위 취득자 14명을 배출했다. 이들이 학위를 취득한 해외대학은 중국 사천대학교(3명), 북경외국어대학교(8명), 미국 버지니아커먼웰스대학교(1명), 호주 매쿼리대학교(1명), 퀸즈랜드공과대학교(1명)이다.

우송대는 올 학위수여자 중에는 325명(학사 127명, 석사 112명, 박사 86명)의 외국인유학생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한남대
한남대가 14일 2024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한 가운데, 졸업생이 학군단의 예도를 받으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남대 제공
한남대도 14일 오전 성지관에서 제63회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하고 학사 1568명, 석사 207명, 박사 29명 등 총 1804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총장과 단과대학장이 졸업생 모두에게 한명 한명 학위증을 수여했다.

전체 수석 졸업한 박민정(화학과) 학생이 성적 최우수상을, 각 단과대별 수석 졸업생 8명에 우수상이 수여됐다. 2024학년도 총학생회 부회장을 역임한 양현갑 학생에 총장공로상을, 정동희(사회복지학과) 학생을 비롯한 7명의 학생들에 한남봉사상을 각각 수여했다.

이승철 총장은 "한남대에서 학문에 대한 열정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뤄낸 값진 결실을 축하한다"며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당당히 나아가 우리 사회의 든든한 인재로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다하도록 노력하라"고 당부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