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와 세종문화원 업무협약

  • 사람들
  • 뉴스

중국 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와 세종문화원 업무협약

한글문화도시 조성 위해
힌중문화교류 협약식

  • 승인 2025-02-15 02:13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739527742057.2006433604
세종특별자치시 최민호 시장의 국립한글문화글로벌센터 조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이를 앞장서 추진하고 있는 세종문화원(원장 임창철)이 12일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방문으로 한껏 고무된 가운데 중국의 한국학연구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소장 김덕균)와 2월 14일 세종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업무협약을 체결, 관심을 모으고 있다.

temp_1739527742060.2006433604 (2)
본지 오피니언면 칼럼 필진이자 전직 대전세종연구원 시민행복분과위원장을 맡아 이미 세종시와 인연이 깊은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 연구소 교수는 "세종시의 대표 브랜드는 한글이고 한글은 Kㅡ문화와 더불어 세계적인 관심사”라며 “중국에서도 한동안 한글과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가 한중관계가 냉랭해지면서 요즘은 소강상태”라고 말했다.

김덕균 교수는 “이번 세종문화원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계기로 중국 내 한국학 진흥과 저변확대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세종특별자치시와 세종문화원의 한글문화진흥 사업에도 큰 힘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임창철 세종문화원 원장은 "문체부 유인촌 장관의 세종시 방문과 관심 표명으로 한글도시 세종의 비전이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학 전문가 김덕균 교수님이 대표로 있는 산동사범대 한국학연구소와 이렇게 협약을 맺게 된 것은 더할나위 없는 큰 힘”이라며 “자주 만나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temp_1739527741983.2006433604
김덕균 교수는 "매년 한글날이 있는 10월 세종문화원이 주관하는 한글문화축제를 하자”며 “그 자리에 전 세계 한글과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자와 학생들을 초청, 다양한 행사와 축제를 한다면, 한글메카 도시 세종시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자리를 같이한 150여 명의 회원들이 박수로 화답했다.

temp_1739527742055.2006433604
한편 이날 협약식에서는 한중문화교류에 기여한 산동사범대학 한국어과 종결 교수와 진강려 교수에 대한 표창장 시상식이 있었다.

주요 내빈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강창렬 정책특보, 류태희 문화특보, 김정섭 문화예술과장, 시의회 정준이 의원, 세종시 여성회 박정희 회장과 세종시 산하 각 단체장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2.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3.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4.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5.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1.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2.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3. [대전교육청 직속기관 돋보기] 대전교육연수원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교육 '앞장'
  4. [춘하추동]봄비, 생명의 물줄기를 기다리며
  5. 경찰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계획범죄 무게 두고 수사 중"

헤드라인 뉴스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대전시의 숙원인 조차장역 철도 지하화 사업이 정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됐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철도 지하화 사업을 통해 침체 됐던 건설 경기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19일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하고,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 지역을 최종 확정했다. 얼어붙은 지방 건설경기를 녹이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철도 지하화 사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이번에 선정된 구간은 대전과 부산, 안산이다. 철도 지하화는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