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은 압축적으로 성장해 온 사회라 사건을 겪고 개선을 하며 발전을 해왔다. 다행히 소 잃고 외양간을 잘 고쳐 왔다는 것이다.
대구 지하철 참사를 겪고 나서 대책을 세우고 개선을 해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지하철로 만들어 왔다.
이번에도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워서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필자는 때로는 통일교육,인성교육으로 대전가오초,공주중동초,세종연남초,청양수정초 등 300여 초등학교에서 특강을 해와서 나름 교육 현장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초등학교에 가서 강의를 끝내고 나면 교장 선생님이 오셔서 차 한잔 하자고 말씀하시고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런 말씀을 하셨다.
"선생님 오늘 저 정말 감동받았어요" 하신다. 제가 왜요? 라고 반문했더니 “우리 학생들이 40분 동안 집중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하신다.
필자는 학교를 나오면서 왜 그게 감동일까? 한참 생각한 적이 많다. 살아있는 부모에게는 한번 절하고, 돌아가신 부모님께는 두 번 절한다.
그리고 공자,석가 등 성현에게는 세 번 절하고, 옛날 황제에게는 네 번 절을 했다. 전통예법인지는 알 수 없지만 무협지 등에서는 사부에게는 구배, 아홉 번 절을 한다고 한다. 그만큼 태어나서 사람으로 만들어져가는 교육이 중요하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이다.
학교 강의를 하다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다. 초등학생에게서 나올 수 없는 수준의 질문이 가끔씩 나오기 때문이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그 질문에 대해서 답을 못 해준 적은 없다. 자랑질이 아니고 팩트니까 말할 수 있다.
필자가 느낀 교육 현장의 문제는 학생이 아니다라고 단언한다.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선생님은 세 유형 정도라고 본다,
학생들의 고민에 같이 고민하며 같이 노력하는 선생님,요즘 애들은 왜이리 힘들어? 하고 고민은 하지만 큰 노력은 하지 않는 선생님, 그리고 그런 질문에 자존심이 상해서 아픈 선생님, 이번에 하늘이를 아프게 하고 하늘로 보낸 명 선생은 세 번째 유형이 아니었을까.
예부터 우리는 교육이 백년지대계라고 말했다. 그 말은 옛말이 아니고 지금 정말 현실에 필요한 말이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들어오면, 모를때는 진심으로 인정하는게 좋다. “정말 좋은 질문이야,선생님이 아직 모르니까 알아보고 가르쳐 줄게” 이렇게 말하면 거기에 반발하는 학생을 본 적이 없다, 다만 반드시 공부해서 가르쳐 주어야 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요즘 선생 역할을 하는게 정말 어렵다. 그래서 그 대책은 학교,선생님들에게만 맡길 수 없다. 정말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아픈 선생을 너무 미워하면 안된다. 그 아픔을 우리 가슴속에 넣어서 이물질이 들어 올 때 그 걸 다듬어 진주로 키워 내는 진주조개 같은 우리가 되어야 한다.
이번 사건에 대해 칼럼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고 3일을 고민했다.
그리고 학교 현장을 조금이라도 더 아는 사람이 김하늘 양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고,선생님들과 아픔을 같이하며 고민해야겠다고 생각해서 부족한 글을 쓴다.
우리는 흔히 다른 사람에게 나쁘다고 지적할 때 손가락으로 가르치는데 엄지는 하늘로 날라 가고,손가락 하나가 상대에게 가고, 나머지 세 개는 나한테 돌아온다.
남을 탓하는 건 편하다,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 아파하며 스스로를 돌아보며 답을 찾아야 한다.
그러면 이번에 아픔으로 하늘로 간 하늘이에게 할 말이 있을 것이다.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