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파오는 1930년대와 40년대에 여성의 몸매를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발전하며 '황금기'를 맞았다. 이 시기 상하이의 모던 여성들은 치파오에 서구 스타일을 접목해 더욱 세련된 모습을 연출했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정치적·사회적 변화로 인해 치파오는 대중적인 인기를 잃었고,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봉건적 잔재'로 비판받아 자취를 감췄다. 1980년대 이후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파오는 복고풍 패션의 일환으로 재조명됐고, 영화, 패션쇼, 미인 선발 대회 등의 영향을 받아 다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오늘날 치파오는 중국의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결혼식, 연회, 명절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여성들은 여전히 치파오를 즐겨 입으며, 많은 디자이너들이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홍콩과 대만에서는 치파오가 더욱 세련된 디자인으로 변형되며 현대 여성들의 감각에 맞게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실크 소재뿐만 아니라 벨벳, 레이스, 자수 등 다양한 소재가 활용되고 있으며, 몸에 꼭 맞는 전통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보다 편안하고 실용적인 디자인도 등장해 일상에서도 착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다.
치파오는 중국 여성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화교 여성들에게도 사랑받는 클래식한 전통 의상으로 자리 잡았다. 독창적인 재단과 디자인으로 세계 패션계에서도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치파오는 동양 여성의 우아함과 매력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풍부한 민족적 문화와 예술적 가치를 담고 있다. 치파오는 전통적인 평면 재단에서 현대적인 입체 재단으로 발전하면서 시대적 흐름에 맞춰 변화를 거듭해왔으며, 이는 인간의 미적 감각과 문화적 전통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발전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치파오의 유행과 변화 과정은 단순한 복식의 변천사를 넘어 중국 근현대 복식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자 동서양 문화 교류의 생생한 증거로 남아 있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치파오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며 중국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낼 것이다.
명예기자 리메이펀(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