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만 해도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은퇴하는 과학기술자는 매년 100명 안팎을 헤아린다. 이 가운데 은퇴 과학자 지원 프로그램 참여 사례는 상당수에 이르나 한계가 여전했다. 퇴직 과학자 창업공간 조성 등이 미진했고 도시 발전을 위한 새로운 산업 육성과 접목하지도 못했다. 과학기술인 전용 정주 여건 조성과 해당 과학자에게 대전시 명예연구원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역시 잘 살려야 한다.
노벨상 수상자 중 최고령자는 89세, 평균 연령은 58세다. 상 때문이 아니라, 지식을 창조하는 과학자에겐 정년이 없다는 자세가 이 사업의 접근법이다. 지금도 기업부설연구소나 연구개발 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 등에 대한 채용 지원은 추진된다. 그러나 기업별 소수 인원에 대해 연봉 일부를 한시 지원하는 방식은 좀 제한적이다. 단기성에 그칠 수 있고 경력경로 맞춤형 지원으로선 부족하다. 기술정보 제공, 특허 지원, 지역 대학생 창업자 대상의 기술 코칭, 중소기업 지원 사업으로 더 영역을 넓혀가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고경력 과학기술인들의 퇴직이 부쩍 줄을 잇는다. 초중등생부터 고경력 과학기술인까지 맞춤 지원한다는 이공계 지원 특별법 개정안도 국회를 통과했다. 시행령 등 후속 조치나 조례안 손질로 정주와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 고경력 연구자를 산업체, 학교, 연구기관 등에 포진시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사장하지 않아야 지역 자산으로 삼을 수 있다. 중소기업 지속 성장에도 유익한 일이다. 정부의 과학기술인재 성장·발전 전략으로도, 과학수도 대전을 만들기 위해서도 과학기술인이 중심이 되는 이 제도는 불가결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