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를 통해 주당 총 2t 물량이 고정적으로 수출될 수 있는 기반 여건을 마련한다는 군의 복안이다.
지원 방식은 연중 기존 일정 자격을 갖춘 농업인의 잎들깨 온실에 스마트팜 시설 구축을 도와 추진할 예정이다.
군은 또 2026년까지 깻잎 수출에 드는 물류비용도 최소화해 가격경쟁력 확보에도 나설 계획이며 재배기술력 향상을 위해 충남대와 연계해 생리장해 분석 연구용역도 2022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이어 양액재배에서 중요한 5대 대량요소 등 식물에 필요한 양분의 과잉과 결핍에 따른 증상과 해결법의 기준을 마련하고 양액재배 잎들깨의 생리장해 분석 도감도 발간할 방침이다.
군은 2018년 전국 최초로 잎들깨 양액재배법을 도입하고 전국 최고 잎들깨 재배단지의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잎들깨 양액재배 방식은 토경재배에 비해 병 발생이 적고 깻잎에 필요한 영양분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도 있어 품질 좋은 잎들깨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노동 부담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재배 방식이다.
시설 내 온도, 수분함유율, 이산화탄소 등 센서를 통한 수치를 스마트폰으로 수시로 확인하고 온실시설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잎들깨 재배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시설하우스 환경조건을 조성하는 게 특징이다.
박범인 금산군수는 "잎들깨 양액재배 스마트팜 확대를 통해 금산군 농업 경쟁력 향상에 나서고 있다"며 "농업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스마트한 미래농업, 정밀농업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금산=송오용 기자 ccmso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