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시가 12일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철강·금속 디지털 대전환 선포식'을 가졌다. 사진은 지자체와 협력 기관, IT기업, 철강기업 수장들이 철강산업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마음으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
포항시가 철강·금속 산업의 디지털 대전환으로 철강산업 위기 극복에 나섰다.
산업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에 빅데이터·AI·5G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과제 해결 능력 및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시는 12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나주영 포항상의 회장, 전익현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 이동렬 포스코 포항제철소장 등 유관 기관장과 디지털 기업대표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철강·금속 디지털 대전환 선포식'을 가졌다.
최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대상 수입품목 25% 관세 적용 발표와 중국의 밀어내기식 수출, 저가 철강 공세 등 글로벌 공급 과잉과 경쟁 심화로 인한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에 힘을 모으기 위해서다.
선포식에서는 디지털전환 추진단을 출범하고, 지자체와 협력 기관, IT기업, 철강기업 등 총 30개 기관·기업 간 디지털·AI 전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철강·금속 제조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철강·금속 특화 공정플랫폼을 개발해 중소·중견기업에게 맞춤형 기술을 지원하며, 시범기업을 육성하게 된다.
특히 실증 장비를 활용해 데이터를 확보·분석하고, 디지털트윈(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검증 기술)을 통해 최적화된 데이터를 기업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조현장의 준비 시간을 단축하고, 불량 원인파악, 원가 절감 등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글로벌 철강 산업의 위기에서 확인되듯 산업 AI 전환은 국가 경제·안보를 좌우하는 피할 수 없는 새로운 흐름"이라며 "포항형 산업 AX 전환으로 새로운 스마트제조 시대를 견인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해 '철강·금속 디지털전환 실증센터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총 220억 원(국비 14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