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청에 설치된 추모분향소 모습. 임효인 기자 |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10일 오후 발생한 대전 초등생 피습 관련 사건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각 기사 댓글엔 용의자의 구체적 지위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 사건 초기 정확한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상태서 용의자가 돌봄전담사인지 교사인지를 주장하는 댓글과 의견이 쏟아졌다.
일부 기사에서 '돌봄교사'라고 명칭을 사용하자 "그런 용어는 없다. 돌봄전담사라는 호칭을 제대로 사용하라"는 댓글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어린 생명이 학교에서 숨진 사건이 발생한 상황에서 교사인지, 돌봄전담사인지가 더 중요한 것처럼 보이는 대목이었다.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이런 상황에서 그게 중요하냐"는 댓글도 잇따랐다.
사실 확인 결과 용의자는 돌봄전담사가 아닌 일반 교사로 판명됐지만 앞선 논쟁 과정 중 일부 커뮤니티에선 돌봄교실을 없애야 한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논란을 키웠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교사가 당초 6개월 휴직계를 내고 한 달도 안 돼 복직한 과정서 특정 교원노조가 개입됐다는 유언비어도 확산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전지부는 이날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초등학생을 살해한 여교사가 작년 12월에 복직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전교조 대전지부의 압력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식의 글이 퍼지고 있다며 경찰 수사 요청을 예고했다. 일반인 접근이 가능한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 디시인사이드, 페이스북을 비롯해 교사들만 접근 가능한 커뮤니에도 이러한 글이 게시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가해 교사로 지목된 40대 여교사는 전교조 조합원이 아니며 지부는 해당 학교나 교육청에 어떠한 압력이나 영향력도 행사한 적이 결코 없음을 밝힌다"고 밝혔다.
신은 전교조 대전지부장은 "이 상황 자체가 교육자로서 굉장히 침통한 상황이다. 더군다나 가해 교사와 관련한 허위사실을 엮어서 일이 엉뚱한 방향으로 가게 만들고 있는 것"이라며 "논할 가치가 없는 상황이긴 한데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선 수사 요청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교사와 돌봄전담사를 놓고 교육계 내부가 분분한 분위기에 대해선 "아이에게 가해를 한 사람이 학교 안에 있는 어른인데, 교사와 돌봄전담사가 각각이 '우리는 아닐 거야'라는 방어적인 측면이 있었을 것 같다. 공격 의도보다 일 자체가 끔찍하다 보니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면서 "학교 현장에 있는 분들이 방어적인 교육환경이 돼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안전해야 하는 공간이 그렇지 못해서 그 책임이 우리한테 돌아오는 것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고 있는데, 아이에 대한 애도가 먼저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임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지부장은 "조합원 중 돌봄전담사가 많다. 여러 이야기에 상처를 받기도 했지만 아이가 사망했고 아이에 대한 애도를 충분히 하자는 분위기"라며 "이번 일은 모든 학교 구성원, 사회가 책임져야 하는 일이다. 감정에 휩쓸릴 문제가 아니고 아이에게 일어난 상황에 대해 의연하게 대처하고 대책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