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량적 성과, 즉 고용 창출, 매출액, 기업 투자 유치액을 보더라도 5년의 일천함을 넘어 안착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현재보다는 기술 창업과 지역 특화 산업의 거점으로서 향후 성장 가능성에 더 주목해야 할 듯하다. 2단계 진입을 앞둔 충남강소특구는 베이밸리 핵심 거점으로 가꾸는 일도 중요하다. 특화 전략에 있어야 하는 건 지원과 성장의 조화다. 지역 주도 소규모 고밀도 육성이라 해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 불필요한 건 아니다.
'나 홀로' 강소특구의 한계 극복은 외연 확장에서도 찾을 수 있다. 강소특구 기업과 광역특구 또는 대기업과의 연계 육성이 요구될 때도 있다. 인공지능(AI) 분야 등 다른 특구와 협력 가능한 사업 발굴 역시 놓치지 않아야 할 사안이다. 안정적 중장기 예산 확보에 힘쓰면서 경제 파급효과에 보다 주력해야 한다. 전주기적 지원 확대와 함께 2단계 사업에선 강소특구 기업의 코스닥 상장 건수를 향상시킬 과제도 있다. '하이테크산업개발구'를 비롯해 기업 상장 건수를 2000곳으로 늘릴 계획인 중국의 경우까지 참고하면 도움이 되겠다.
충남강소특구의 지정 면적 1.5배 확장 방침은 공공기술 사업화의 거점 지구를 찾는 기업 입주 수요가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액셀러레이터(AC), 벤처캐피털(VC) 같은 벤처투자기획자나 창업 기획자 만나기가 어려워서는 판도를 바꿀 혁신 유니콘 기업이 나오기 힘들다. 지역 기반 투자 환경의 선순환을 위해 스타트업 육성 펀드 외에 기술이 정책금융과 매칭될 여건도 만들기 바란다. 신기술 실증에 걸림돌인 해묵은 규제와는 단호히 '헤어질 결심'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