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가 치러지는 새마을금고는 전국 1100여 곳에 달할 정도로 매머드급이다. 올해 선거는 2021년 새마을금고법이 개정되면서 총자산 2000억원 이상은 직선제로 그 미만은 간선제로 치러지고, 선관위가 선거를 위탁받아 관리한다. 회원 직선제로 이사장을 뽑는 새마을금고만 전국적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운 543곳에 이른다. 대전지역 32개 새마을금고 중 직선제와 간선제가 각각 16곳씩 치러지고, 선거 참여 인원만 12만50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식 후보자 등록이 18~19일 이틀간 진행되는 가운데 경찰청은 전국 경찰관서에 선거사범 수사전담반을 편성해 각종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섰다. 후보자 등록을 앞두고 금품제공 등 불법행위가 감지되고 있다. 충북선관위는 현직 새마을금고 이사장이 불법 기부행위를 한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고, 부산선관위는 입후보 예정자가 대의원 등에게 식사비를 제공한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제도가 바뀐 것은 신협과 더불어 서민 금융의 대표적인 기관이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민주주의 꽃'이라는 선거는 절차의 정당성, 결과의 신뢰성이 생명이다. 탄핵정국 와중에 새마을금고 이사장을 뽑는 선거가 진행되는 건 교훈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많다. 대선과 국회의원·지방선거 이상으로 민심을 살필 수 있는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다. 중도일보·대학언론사·대전선관위 활동이 기대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