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이대로라면 37회 대전광역시 미술대전은 시립미술관에서 열리지 못한다. 그동안 미술대전을 개최하면서 대전광역시를 대표하는 미술대전을 개최한다는 자부심으로 우리 미술인은 자랑스러워했다. 또한 대전시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명실상부 전국공모 미술대전으로 성장하고 유명 미술가를 배출하는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술대전 수상자들이 초대작가가 되어 전문미술가로 성장하고 더불어 미술대전을 운영하고 심사에 참여하는 전문가로 거듭났다. 이게 한순간 무너졌다. 미술에 대하여 잘 모른다고 말하는 시의원의 11월 12일, 당시 발언이 여러 군데 사실과 다름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중호 위원이 강조했던 출품 수에 대한 정보는 사실과 다르다. 지난 36회 미술대전의 총출품 수는 1523점이다. 출품료가 5만 원이니 곱하면 7615만 원이다. 도대체 총출품 수 4000점과 출품료 2억 원의 출처는 어디란 말인가? 미술협회 측에서 제공했다는 취지로 말했던데, 지난해 미술대전은 출품료와 지방보조금을 더해 1억4100만 원을 집행했다.
또한 시립미술관 측은 미술대전 대관을 앞두고 전시실 보수 비용이 4000만 원 발생했으며 이 비용을 대전미협에 부과하지 못했다고 한다. 대전미협에 확인했지만 이에 관해 어떠한 의견도 시립미술관 측으로부터 받지 못했다고 한다. 특히 대전광역시 지방보조금 6480만 원을 받는 것이 다른 시도에는 전혀 없는 대전미협만의 특혜라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거의 모든 지역 미술협회에서 개최하는 미술대전은 지방보조금을 받는다. 출품료만으로 공모전을 운영할 수 있는 지역 미술단체는 아무 데도 없는 게 현실이다. 대관 특혜, 출품료 2억 원으로 공모전을 자체 수행하지 않고 혈세 지원 특혜를 받는 집단으로 호도했다.
대관 불허 사유 중에서 운영위원의 정족수 미달과 제척 사유 등은 시립미술관 측의 미숙한 운영에 책임이 있다. 11월 12일 사무감사의 회의록에 따르면 과반수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여 12명의 과반을 6명으로 해석한 시립미술관 측의 운영 미숙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이때 참석한 절반 6명 중에 3명 이상이 미술협회 회원이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시립미술관은 즉시 운영위원회를 다시 소집해야 했다. 피해는 오롯이 대전미협이 짊어진 셈이다.
미술대전이 무산되면 가장 큰 피해를 누가 입을까? 공모전을 주최하는 대전미협일까? 아니다. 그동안 미술대전에 출품하여 경력을 인정받으려는 신진미술가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본다. 아마추어 미술가들이 전문가로 인정받는 첫 번째 관문은 미술대전의 초대작가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2025, 2026년 2년간 지방보조금과 시립미술관 대관을 불허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2년간 미술대전이 개최되지 않는다면 초대작가에 도전할 기회를 두 번 박탈당하게 된다. 그래서 대전미협은 플랜B도 준비 중이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