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별 취업시장 규모 및 취업자수 증감.(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은 11일 간담회를 통해 최근 공개한 '대전지역 고용 상황의 주요 특징 및 평가' 보고서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2020년~2022년) 동안의 대전지역 취업자 수는 2019년 말 대비 3.3% 늘어난 80만 2000명으로, 5대 광역시(0.3%)를 크게 웃돌았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적극적인 방역 정책에 힘입었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은 대전에서 2만 7000명에 달하는 취업자 수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종료 이후 관련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고용이 축소·조정됐고, 이제는 대전지역 전체 취업자 수 하락에 기여 하는 핵심이 되는 실정이다. '대전지역 관리자·전문가 중 업종별 취업자 수 증감 조사'를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2024년 상반기 기준 전기 말 대비 1만 1829명에 달하는 취업자 수 감소를 기록했다. 정혜윤 경제조사팀 과장은 "대전지역은 산업구조 특성에 따라 코로나19 사태 종결 이후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효과를 누렸지만, 최근엔 고금리, 고환율, 고임금 현상을 마주하며 당시의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고 있다"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타 지역과 비교해 대전에서 유독 위축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고 말했다.
![]() |
연령별 대전지역 취업자수 증감 등 지표.(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청년층의 취업 감소 현상이 대전 전체 취업자 수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뜻으로, 이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는 청소년층 학령인구 감소에 영향을 끼치면서 대전지역 교육 서비스업의 고용 위축 요인으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 과장은 "다양하고 새로운 업무 경험을 중시하는 청년층 취업자가 지역 내 핵심연령층으로 잔류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연계해 주는 브릿지 프로그램을 활용해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와 지역 인재유출을 방지해야 한다"며 "지역 인재들의 안정적인 지역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지역교육과 산업현장을 연결하는 정책을 활성화해야 하고,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한 신규 산업을 발굴과 고용의 질 제고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