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2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
1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는 75.4로 4.0포인트 올랐다.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는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 지수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뒀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100을 밑돌면 시장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웃돌면 그 반대 상황을 의미한다.
수도권은 76.6으로 0.2포인트 하락했고, 지방은 4.8포인트 오른 75.1을 기록했다. 충청권을 보면, 대전은 69.2로 전달보다 9.2포인트 올랐고, 세종은 1.9포인트 오른 76.9로 확인됐다. 충남은 11.1포인트 오른 77.8이었다. 충남의 경우 전국에서 광주(13.3포인트), 전남(12.5포인트), 대구(12.2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오름폭이 컸다. 충북은 70.0으로 전달보다 2.7포인트 떨어졌다.
충남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1월 큰 폭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상승이 이어졌는데, 여전히 모든 시도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100.0)를 크게 밑돌아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상황이 계속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여기에 강력한 주택 담보 대출 규제와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아파트 분양 사업성 악화도 비관적 요소로 꼽혔다. 또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 물량(2만 1480세대)이 2014년 7월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최대에 이른 점도 분양 전망이 계속 기준치를 밑돌게 하는 원인 중 하나다. 이달 미분양 물량 전망 지수는 전월 대비 10.7포인트 상승한 113.5로 지난해 1월(115.7)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7.1포인트 상승한 84.6으로 집계됐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하회하고 있어 분양 물량이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주산연 관계자는 "건설사 부도가 잇따르는 등 건설사업자 수도 급감하고 있는데, 이 추세가 지속되면 향후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와 금융기관이 협력해 불합리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와 주담대 심사기준을 개선하고,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건설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 |
아파트분양전망지수 추이.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