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 청소년과학페어 시상식 입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제공 |
▲2025년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주요 업무=2025년도 대전교육과학연구원은 '연구하는 교원', '탐구하는 학생', '성장하는 학교' 중심으로 행복한 학교, 미래를 여는 대전교육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미래를 주도하는 교육정책연구, 둘째 현장중심 교육연구, 셋째 역량중심 창의인성교육, 넷째 탐구중심 과학교육, 다섯째 체험중심 창의융합교육 다섯 개 정책 방향을 토대로 2025년 주요 업무를 추진한다. 또 역점 과제로 체험과 탐구를 통해 미래를 디자인하는 창의융합교육을 도모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미래를 주도하는 교육정책연구를 위해 대교육정책연구소는 '행복한 학교 미래를 여는 대전교육 Think Tank'로서 미래지향적인 교육정책을 연구·개발하고 대전교육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나간다. 2025년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를 여는 교육, 세계로 나아가는 대전교육의 기초 마련을 위해 '학생맞춤통합지원 운영 현황 분석 및 내실화 방안' 등 자체연구 6건을 수행하며 'AI디지털교과서(AIDT) 활용 실태 분석 및 적용 방안' 등 현장연구 6건을 진행한다. 위탁연구의 질도 외부 전문 심의위원과 대전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의 심의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며 '대전광역시 IB 프로그램 도입 및 현장 적용 방안 연구' 등 6건의 위탁연구도 실시한다. 대전교육발전특구의 성과 분석 정책연구와 함께 학교, 교육청, 대전시, 지역 대학, 지역 산업체와의 소통의 장인 대전교육발전포럼을 개최해 대전교육발전특구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노력하며 정책연구 협력체계를 탄탄히 구축하기 위해 대전교육정책연구 지원단과 대전·전국 정책연구 네트워크를 운영할 예정이다.
![]() |
'2024 교육가족이 참여하는 대전교육정책 교육발전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가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제공 |
셋째로 역량중심 창의인성 교육을 위해 공교육 활성화·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보급, 창의인성교육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공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원 연구역량 신장을 돕는 교육연구회와 교육자료전을 운영하고 교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개발연구위원연구대회를 실시하며 이에 따른 우수자료를 공유하고 일반화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창의인성교육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생 맞춤형 창의인성 체험 프로그램과 디자인씽킹 창의 캠프를 개최하고 창의인성교구 활용, 교원 연수와 가족 캠프 운영으로 교실수업을 혁신해 창의인성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 |
2024년 디지인씽킹 창의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제공 |
마지막은 체험중심 창의융합교육을 위해 다양한 과학 관련 대회 운영으로 창의융합 탐구능력을 신장시키고 대전과학체험관과 오픈랩 프로그램 등 체험중심 과학활동을 활성화한다. 창의융합 탐구능력 신장을 위해 연구 활동 중심의 과학전람회,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자연관찰 및 과학실험, 동아리 활동 중심의 학생과학탐구올림픽, 협업과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청소년과학페어를 운영하고 시대회와 전국대회 참가를 통해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체험중심 과학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전과학체험관의 다양한 과학탐구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해 대전교육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과학교육의 장을 조성하고 주제중심 과학실험탐구를 위한 오픈랩 과학실험프로그램을 운영해 미래주도형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또 과학자와 함께하는 과학진로토크와 10월에 꿈돌이사이언스페스티벌을 개최해 과학축제로서 대전 과학문화를 펼칠 예정이다.
![]() |
과학자와 함께하는 과학교실 모습.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제공 |
현장중심 교육연구를 위해 연구학교 50교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연중 실시했으며 문헌정보실은 교과용 도서 및 최신 교육·과학 분야 전문자료를 수집해 제공함으로써 학교교육 현장 지원을 강화했다. 교육연구 활성화 및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보급을 위해서는 초등 장학자료 3종 11책을 수정·보완해 보급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감 인정 교과용 도서 17종 71책을 개발해 보급했다. 또 교재개발 연구자료 5종과 초등학교 서·논술형 평가도구 480문항을 개발해 현장에 보급했으며 제55회 전국교육자료전에서는 국무총리상 한 팀, 2등급 한 팀 등 2년 연속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 |
2024 연구 결과를 홍보하고 공유하는 연차보고회 모습.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제공 |
윤기원 대전교육과학연구원장은 "대전교육과학연구원은 변화하는 교육 환경 속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전략적으로 수립하고 급변하는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기반 대전교육 정책연구와 교육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학생, 학교의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자 적극 노력할 것"이라며 "교육공동체인 학생, 학부모, 교원과의 소통과 참여로 신뢰받는 대전교육과학연구원이 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