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서울 등 수도권이 1020 세대와 30대가 빠져나가는 젊은층 블랙홀이 된 현실은 단기적,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꼭 바로잡아야 한다. 지역에서 취업한 청년의 잦은 역외이직은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 저해 요인이기도 하다. 산업·주거·문화가 결합한 복합공간 구상이 그래서 좋다. 맞손 잡은 각 부처 지원사업,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강조한 기업 투자와 지역 인재 양성, 정주 여건 개선 정책의 유기적인 결합이 더욱 중요하다.
이번 정책에서 평가하고 싶은 것은 지역 경제 견인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한 묶음으로 한 점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의 고강도 연계 협력 체계를 당부한다. 청년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경에는 원하는 일자리가 부족한 데도 있다. 정주 여건 때문에 지역을 등지는 일도 없게 해야 한다. 지역에서 살기 원하는 정주 여건을 만들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청년과 기업의 요구를 외면한 보여주기식이나 시작만 요란한 '용두사미' 행보가 아니어야 하는 이유다.
지방성장거점 조성은 지역특화형 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국정과제와도 궤가 같다. 가장 효과적 방안은 청년을 유입할 우량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지역 유치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서둘러야 하는 목표도 다르지 않다. 단발성 정책으로는 청년 발길을 붙들지 못하며 지방시대 구현 역시 공허한 말로 만든다. 청년이 모이는 전제는 기업이 모이는 것이다.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 지방시대위와 6개 관계부처, 지자체의 순조로운 협업을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