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노출도와 보완도 상위 및 하위 직업 등 분류.(자료=한국은행 제공) |
'AI 영향력'의 확산이 전 직업군으로 뻗어 나갈 수 있단 뜻으로, 국내 최대 과학 도시를 지향하는 대전의 일자리 구조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한은 조사국 고용연구팀의 'AI와 한국 경제' BOK이슈노트에 따르면 국내 근로자의 과반이 넘는 51%가 AI 도입으로 인해 일자리에 지대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직업별로 'AI 노출도(exposure)'와 'AI 보완도(complementarity)'를 계산해 내린 결론이다.
대한민국 전체 근로자의 24%는 AI로 인한 생산성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측됐으며, 27% 근로자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여성·청년층·고학력·고소득층에게 AI는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AI 노출도란 직무가 AI에 의해 어느 정도 대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AI 보완도는 직업의 사회적·물리적 속성으로 인해 AI로 인한 직업 대체 위험으로부터 보호받는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판사, 외과 의사 등의 직무는 의사 결정의 중대성, 오류 발생 시의 심각성 등을 고려했을 때 높은 노출도와 높은 보완도를 가진다. 관련 직종들은 AI 노출도가 높더라도 인간이 수행할 가능성이 크며, 생산성 향상과 임금 상승의 혜택을 누릴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특히 AI 도입은 한국경제의 생산성을 1.1에서 3.2%, GDP를 4.2에서 12.6% 높일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고령화로 인한 GDP 감소 폭을 5.9%로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AI 산업의 발전은 국내 최대 과학 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의 일자리 구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전은 각종 서비스업과 지식기반산업, 의사, 법조계 종사자 등 AI 노출도가 높은 직종이 다수 분포했으며, AI 산업 변화에 민감한 청년 인구 비율도 지난해 말 기준 27.7%로 특·광역시에서 서울(30.4%)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과학기술 관련 연구소와 대학 등이 다수 분포했단 점에서 AI에 대한 접근성도 타 도시 대비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AI 도입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시류인 만큼, 대전에서도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AI 산업 활성화 및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연구팀장은 "한국은 AI 준비 지수가 165개국 중 15위로 선진국 대비 우수한 디지털 인프라와 혁신 역량을 보유해 AI 도입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교육과 재훈련을 통해 노동 시장 유연성을 높이는 동시에 취약 계층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에 있는 AI 관련 기업 대표는 "산업 구조와 기반 시설 등을 종합했을 때 대전은 AI 산업의 발전 가능성과 활용성이 아주 높은 도시"라면서도 "그러나 교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커뮤니티나 지원 정책 등을 놓고선 타 도시나 기반 시설 대비 아쉬운 점이 있다. 관련 기능들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