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5월 개최된 제36회 대전광역시미술대전./사진=대전미술협회 제공 |
지역 대표 미술이벤트의 명맥을 잇기 위해선 다른 개최 장소를 찾아야 할 처지인데 이를 두고 지역 예술계 안팎에서 갑론을박이 뜨겁다.
10일 본지 취재 결과, 한국미술협회 대전광역시지회(이하 대전미협)는 지난해 11월 4일 대전시립미술관 대관 공고에서 허가 통보를 받았으나, 며칠 뒤 돌연 취소 통보를 받았다.
허가 통지 직후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대전미술대전 주최 기관인 대전미협의 영리 추구와 대전시립미술관의 대관 사업 공정성 문제가 지적되면서다. 대전미협은 이후 11월 25일 재공고에서도 탈락했다.
올해로 37회를 맞는 대전미술대전은 매년 1500~2000점의 작품이 전시되는 대전 지역 대규모 미술 행사다. 1998년 대전시립미술관이 개관한 이후 줄곧 이곳에서 열렸지만, 대규모 전시를 유일하게 감당할 수 있던 대전시립미술관의 대관이 무산되면서 올해 대전미술대전의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앞서 행감에선 대전미협이 대전미술대전을 통해 영리를 추구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중호 의원(서구5·국민의힘)은 "대전미협은 대전미술대전을 통해 2억 원가량의 출품비를 받으면서도 시로부터 전시 공사비와 민간보조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아 왔다"며 "영리성이 비치는 특정 협회에서 공공시설물을 개관 이래 30년 내내 대관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전미술대전은 매년 4000점가량 출품되며, 작품당 5만 원의 출품비를 받아 약 2억 원의 출품료를 확보한다. 여기에 4000만 원 상당의 전시 설치 및 철거비용은 대전시립미술관 측에서 부담하고, 시에서 진행하는 민간보조사업에도 참여해 연간 6400만 원의 보조금을 지난해까지 3년간 수령해 왔다. 올해는 대관 무산으로 인해 미술대전 개최가 불확실해 지원금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전미협 측은 "대전미술대전은 지역 미술계의 발전과 작가들의 창작 의욕 고취를 위해 열리는 비영리 행사"라며 "출품료와 지원금은 대량으로 출품되는 작품들을 심사하고 전시하는 데에 모두 사용된다"고 반박했다.
행감에선 이와 함께 대전시립미술관 운영위원회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 의원은 "운영위원회 정원 13명 중 회의에 참석한 인원은 6명뿐이고, 재적 위원 과반수가 참석해야 한다는 원칙이 위반됐다"며 "이 중에는 (대전미협과 관련된) 제척 사유에 해당하는 사람도 포함돼 있다"고 꼬집었다.
운영위원회는 대전시립미술관장과 대전시 문화예술과장, 지역 교수 등 13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대전미협 소속 회원은 대전미협회장을 포함해 총 5명이다. 이에 대전시립미술관은 재공고에 대전미협 관계자 5명을 제외하고 회의를 열었다.
지역 미술계의 반발도 거세다.
한 미술계 관계자는 "대전미술대전은 90% 이상이 대전 시민이 참여하는 대전의 대표적인 전시 행사로, 지역 청년 예술인들의 등용문 역할을 해왔다"며 "출품 준비에는 1년가량이 소요되는데, 장소 문제로 개최가 불확실해지면서 출품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행정감사 당시 이 위원은 "민간위탁사업을 통해 개최하기보다 시립미술관의 역량으로 자체 기획전 형식으로 개최해 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대전시립미술관 관계자는 "행감에서 지적받은 사항은 절차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 미술관의 역할이기 때문에 무리하게나마 재공고를 진행한 것"이라며 "현재 2025년도 대관은 완료돼 대전미술대전을 위한 추가 공고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