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 12)에 사계 김장생의 학문적 기반을 근거로 그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서원이다. 김집, 송준길, 송시열을 추가로 배향해 총 4명의 위패를 모시게 되면서 기호학파의 학통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서원이다.
창건 당시에는 강당인 응도당(보물)과 제향공간인 유경사(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그리고 기숙사인 거경재와 정의재로 구성됐다.
관련 기록에 따르면 돈암서원은 1880년(고종 17) 장마 피해로 인해 원래의 위치에서 현 위치로 이건됐다. 당시에는 제향 공간인 유경사를 중심으로 서원이 재구성됐으며, 현재 위치의 응도당은 1971년에 이건됐다. 응도당은 이후 2008년 국가지정문화유산(보물)으로 지정된 바 있다.
![]() |
먼저, 조상순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 소장은 “돈암서원은 1634년 창건된 이후 1880년 이건을 겪으면서 현재까지 서원의 변화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고 발표했다.
류성룡 고려대학교 교수는 “돈암서원 유경사는 응도당과 건축기법과 구조가 동일하다”며 “다른 서원 내 사당과 비교해도 가장 장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위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건축사적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성봉현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교수는 “이건 및 복원된 건물 중에서도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사례가 많다. 특히 유경사는 창건 당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재목도 당시의 것을 해체·복원했다는 점에서 17세기 서원의 사우 양식의 대표성이 있다”고 말했다.
향후 논산시는 학술포럼을 통해 검토된 돈암서원 유경사와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하여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을 추진할 계획이다.
논산=장병일 기자 jang3921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