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성광 원장 |
실제는 이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이 투입되었으리라는 것이 중론이지만, 여하튼 DeepSeek은 미국의 견제 속에서도 저사양 GPU만을 사용해 세계 최고 사양의 AI 모델을 개발했고, 소스 코드를 공개해 AI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꿔 놓았다. 머지않아 엔비디아(NVIDIA)의 경쟁사(AMD, Intel, 중국 AI칩 업체)들도 DeepSeek의 최적화 기술을 참고해 비용 절감형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는 AI 훈련 및 추론에 사용되는 GPU의 구매량 감소로 이어져 NVIDIA의 수익 모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NVIDIA의 주가는 DeepSeek이 출현한 지 하루 만에 17%나 하락하기도 했다.
DeepSeek의 성과와 오픈소스 정책은 OpenAI와 DeepMind 등 미국이 주도해 온 AI의 중심축이 미국과 중국의 양강 체제 또는 이를 넘어선 다극 체제로 이동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러한 위기를 의식해서인지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DeepSeek 논란 1주일 만에 일본과 한국을 방문해 AI 협력을 다각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및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의 삼자회동에서는 손 회장이 50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삼성의 참여를 타진한 것으로 보인다. 손 회장이 NVIDIA의 GPU를 대체할 AI칩을 개발하고 올트먼은 AI 전용 단말기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들이 삼성에 달려와 준 것은 일단 고무적이다.
AI 개발 경쟁에서 한국에도 뒤지고 있는 일본은 정부 주도하에 손 회장이 쩐주로 나서서 AI 리더십을 확보하려 애쓰고 있다. 한국도 지난해 말 'AI 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의 정치적 상황으로 녹록지 않은 형편이다. 그나마 우리는 AI 동맹에 필수적인 반도체 제조라는 비빌 언덕이라도 있어서 다행이다. 유럽은 이러한 동맹에 초대받을 반도체 제조 능력이 없으며, 일본은 반도체 제조 능력 부족은 물론 디지털 전환도 느려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AI 선두 주자인 네이버조차도 천문학적인 자금과 최고급 인재를 원 없이 투입하는 미국과 중국에는 애초에 경쟁이 되지 않는다. 마침, 미국은 중국과의 전쟁을 위해 세를 모으고 있는데, 어차피 한국의 규모로는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으니, 이참에 누구와 연합해 어떤 비즈니스로 살아남을지 생존전략을 잘 짜야 한다.
올트먼은 이번 방문에서 '한국은 에너지와 반도체, 인터넷 등 AI와 연결된 모든 산업이 발달해 있어 강력하게 AI를 적용할 수 있는 나라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소버린 AI를 갖춘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지만, 미국과 중국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초거대 AI 모델 개발보다는 반도체 제조 분야와 우리의 빨리빨리 문화가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특화 AI 개발 및 활용 분야에 국가적 자원을 집중해야 한다. 물류, 금융, 제조업, 식품 품질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 개발과 활용 확대를 통해 AI 활용 산업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는 R&D와 교육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DeepSeek의 개발자 뤄푸리 같은 천재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혁신하는 일이다. 암기 위주로 줄 세워 평가해 1점 차로 당락을 결정하는 입시정책으로는 이러한 천재가 절대로 나올 수 없다. 교육학자와 선생님 중에서 AI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교육학자가 디지털 트렌드를 배우든, 디지털 전문가가 교육학을 익혀 교육정책 개발에 투입되든 교육정책의 대변혁이 오지 않으면 AI 시대에 살아남지 못한다./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