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푸른 뱀의 해를 맞은 올해에 대한 기원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푸른 뱀의 해를 맞은 올해에 대한 기원

송기한 대전대 교수

  • 승인 2025-02-10 10:50
  • 신문게재 2025-02-11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송기한 대전대 교수
송기한 대전대 교수
올해(2025년)는 뱀의 해이다. 한 해를 뱀의 해라고 하는 것은 순전히 동양식 연도 표현의 방식이다. 동양은 연도를 육십갑자로 하는데,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조합을 통해서 60개의 명칭으로 만들어진다. 천간은 10개이고, 지지는 1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둘의 조합으로 60년 주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나이가 60되면, 자신이 태어난 연도와 동일한 육십갑자가 되는 까닭에 이를 두고 회갑(回甲)이라고 한다.

올해는 뱀의 해이지만, 특별히 '푸른 뱀'의 해라고 한다. 을사년(乙巳年)의 천간 '을(乙)'이 오행에서 말하는 나무(木)에 해당하며, 나무는 푸른색이기에 그런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다.

'푸른 뱀'의 상징적 의미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양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뱀은 비교적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구렁이 각시'의 설화나 남편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구렁이가 되어 약초를 물고 왔다는 각시섬의 전설 등에서 보듯 뱀은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서양의 경우 뱀은 동양과 달리 그렇게 친숙한 동물이 아니었다. 서구에서 뱀의 존재성을 가장 극명하게 말해주는 것은 에덴동산의 신화이다. 하나님의 천지 창조 이후, 지상의 모든 생명체는 에덴 동산이라는 공간에서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유토피아적 평화의 세계를 파괴한 것은 잘 알려진 대로 '뱀'과 그것이 벌인 '유혹의 담론'이었다.



하나님은 에덴 동산에서 모든 것을 자유로이 먹고,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단 한 가지 해서는 안되는 금지의 규칙을 만들어냈는데, 사과라는 과일을 먹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 과일은 눈이 밝아지는 과일, 선과 악을 구별하는 과일, 흔히 말하는 선악과(善惡果)였다. 만약 인간이 이 소비충동을 이겨냈더라면, 현재와 같은 원죄는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에게 에덴 동산이라는 유토피아, 원죄라는 덫을 씌운 것은 바로 '뱀'이었다. 그래서 뱀은 유혹의 상징이 되었거니와 서구 사회나 기독교에서 사악한 동물의 상징이 되었다.

뱀의 신화적 상상력은 이후 동양 사회에서도 빠르게 전파되었고, 그 결과 이제 그것은 동양에서도 그리 긍정적인 동물로 비춰지지 않았다. 유혹의 상징이 되었던 것인데, 이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이 '꽃뱀'일 것이다.

우리 문학에서 이 '꽃뱀'의 상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한 시인은 아마도 서정주일 것이다. 그는 자신의 대표작 '화사(花蛇)'를 썼고, 이를 자신의 첫시집(1941)의 제목으로 상정하기도 했다. 서정주가 이 작품을 쓴 동기는 인간은 궁극적으로 유혹하는 존재, 혹은 유혹당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그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도입한 것이 에덴 동산의 신화에서 벌어진 뱀의 유혹이었다.

서정주 이후 '뱀'의 사악한 상징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침투해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 하나가 욕망의 상징이었는데, 이와 관련된 일화들은 제법 많았다. 비록 오래된 시절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아마도 필자가 중학교 시절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하교 길에 우연히 한 무리의 군중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았다. 무슨 약을 파는 것 같았다. 그런데, 약을 파는 주체는 목에다 뱀을 두르고 있었고, 병 속의 물을 땅에 조금씩 쏟으면서 남자들의 오줌발은 이렇게 약하면 안 된다고 연신 떠들어내고 있었다. 뱀을 두르고 있어 재미있어 보이긴 했지만, 무슨 약이기에 뱀을 목에 걸쳐야 하는 것인지, 병에 뚝뚝 떨어지는 저 힘없는 물줄기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나중에 알았지만.

뱀은 이렇게 우리 사회에서 욕망하는 것의 상징으로 굳어지기 시작했다. 욕망 때문에 인간은 유토피아를 잃었다고 성서는 가르치고 있거니와 다시 그 유토피아로 회귀하기 위해서 인간은 무엇보다 욕망을 다스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단면은 비단 성서에서만 유효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올해는 뱀의 해이긴 하되 푸른 뱀의 해이다. 욕망이란 붉음이다. 푸른 색은 붉은 것을 중화시키는 기운을 갖고 있다. 그 뜨거운, 빨간 기운을 푸른 색으로 희석시켜 욕망이 절제되는 사회, 그리하여 갈등없는 사회를 기원해보는 것은 어떨까. /송기한 대전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대전 초등학교 1학년 아동 학교서 피살… 병원서 사망 판정
  2. 대전교육청 "초등 사망 용의자는 40대 교사… 11일 오전 브리핑"
  3. 대전 초등학생 피습 용의자 자백… 경찰 40대 여교사 긴급 체포
  4. 대전시 꿈돌이 마케팅 … 전국 '캐릭터 大戰' 칼뺐다
  5.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1. [대전 학교 체육시설, 굳게 닫힌 문] 안전·관리 부담에 개방률 감소세… 지역 주민 "운동공간 부족"
  2. [한성일이 만난 사람]박세용 대전시 시니어 특별보좌관
  3. [건강] "갑자기 눈이 흐려요" 겨울철 눈 중풍때 빠른 처치를
  4. 황운하의 '범민주진보 연합군' 구상… "다음 대선서 압도적으로 승리해야"
  5. [건강]성조숙증 예방 세 가지, '고른 식사·8시간 숙면·뜀 운동'

헤드라인 뉴스


대전 초등생 학교서 피습 사망… 현장서 체포된 교사 범행 자백

대전 초등생 학교서 피습 사망… 현장서 체포된 교사 범행 자백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8세 여학생이 흉기에 찔려 숨진 사고에 대해 현장에서 체포된 40대 여교사가 범행을 자백했다. 10일 대전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50분께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인 8세 여학생이 흉기에 찔려 쓰러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현장에서 목과 오른팔에 자상을 입은 40대 여교사를 유력 용의자로 긴급 체포했다. 해당 여교사를 자상을 입은 상태로 대학병원으로 옮겨졌고, 생명에 지장이 없어 경찰 조사 끝에 범행 일체를 자백했다. 또 해당 여교사의 자상은 자해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초등학교 1학년..

대전 꿈돌이라면 시식해보니 "시판제품과 유사…캐릭터 돋보여"
대전 꿈돌이라면 시식해보니 "시판제품과 유사…캐릭터 돋보여"

"맛이 일반 라면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네요. 꿈돌이 캐릭터가 눈에 띄는데 앞으로 붐 조성을 잘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대전시가 대표 캐릭터를 앞세워 만드는 야심작 '대전 꿈돌이 라면'이 5월 출시 예정이다. 본보 기자가 10일 대전시청 구내식당에서 열린 시식회에 참석해 라면을 직접 먹어봤다. 라면봉지는 대전의 대표 상징들로 꾸며졌다. 꿈돌이와 꿈순이 캐릭터가 크게 자리를 잡았고, 대전엑스포의 상징인 한빛탑과 엑스포 다리가 자리를 잡고 있다. 끓여진 라면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꿈돌이 모양의 어묵이다. 라면 건더기 스프에는..

충남도 투자유치 `탄력`… 반도체 등 21개사 5613억원 유치
충남도 투자유치 '탄력'… 반도체 등 21개사 5613억원 유치

충남도의 투자유치 활동에 탄력이 붙고 있다. 이번엔 반도체 등 21개사 5600억원을 유치하면서 도의 민선8기 최종 목표인 45조원 달성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1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박상돈 천안시장 등 9개 시군 단체장·부단체장, 김종학 태성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9개 시·군 산업단지 등 38만 5326㎡의 부지에 총 5613억 원을 투자해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이전한다. 이에 따른 신규 고용 인원은 1400여 명이다. 구체적으로 2차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액운아 물럿거라’ ‘액운아 물럿거라’

  • 출시 앞둔 대전 꿈돌이라면…‘맛은 어떨까?’ 출시 앞둔 대전 꿈돌이라면…‘맛은 어떨까?’

  • 눈 내리는 대전 눈 내리는 대전

  • 폭설 뒤 줄잇는 세차 행렬 폭설 뒤 줄잇는 세차 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