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 전경. |
시는 충북도로부터 최종 승인받은 '2040년 충주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도시의 미래상과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도시 여건 변화를 반영해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평택~제천 간 고속도로, 중부내륙 고속철도 개통 등 사통팔달 광역 교통망과 바이오헬스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한 다수 산업단지 개발을 통해 중부내륙 성장선도 도시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계획은 모두가 살기 편한 행복도시, 혁신과 일자리가 가득한 경제도시, 즐거운 체험이 가득한 문화·관광도시,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친환경 건강도시 등 4대 추진전략을 담았다.
시는 산업단지 개발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 유입으로 2040년 예상 인구를 27만 명으로 전망했다.
관광객 등 주간 활동 인구 3만 6000명을 포함하면 총활동 인구는 30만 6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기존 2030년 계획과 달리 충주호 지역을 특화 중심지로 설정해 관광 기능을 강화했으며, 신규 개발 사업을 반영한 개발축을 설정하는 등 행정구역(983㎢) 전체를 대상으로 도시 공간 구조를 재편했다.
도심은 복합 기능 중심지로, 동부권은 도농 복합형 생활권으로, 서부권은 신산업 거점으로, 남부권은 관광·휴양 중심지로 조성하는 등 권역별 특화 전략도 마련했다.
또 중부내륙선 철도 개통에 따른 충주·앙성온천·살미·수안보 역의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시는 주택, 환경, 경관 등의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마련하는 등 2040년 충주시의 지속 가능한 종합적인 도시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2040년 충주 도시기본계획은 충주시가 중부내륙의 성장을 선도하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획"이라며 "계획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종 개발 수요에 대응해 시가화 예정 용지를 확보하고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해 도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한편 '2040년 충주 도시기본계획'은 2월 7일 자로 공고됐으며, 충주시 홈페이지 및 도시계획과에서 열람할 수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