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지대병원 소아재활의학과 채민지 교수 |
성조숙증으로 진단되면 일반적으로는 사춘기 지연 호르몬 주사제(GnRH agonist)로 치료를 하게 된다. 4주에 한 번 맞는 제형이 흔하고, 3개월에 한 번 맞는 제형도 있다. 치료의 목표는 또래와 비슷하게 사춘기를 겪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치료 시작 시기나 동반된 문제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를 수 있겠지만, 보통 치료 기간은 2년에서 3년 정도로 잡는다.
성조숙증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생길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키 손실'이다. 뼈 나이 등으로 예측되는 키만큼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여아의 경우 초경이 또래보다 매우 빠르게 시작될 수 있다. 문제는 신체적 변화로 인한 혼란으로 심리적인 스트레스까지 겪는 경우도 흔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여성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에 빨리 노출될수록 성인이 되어 자궁내막증이나 유방암, 난소암 같은 여성암, 전립선암 등과 같은 남성암의 발병 위험성도 증가할 수 있다.
성조숙증을 치료하면서 부모들이 걱정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주사치료 때문에 호르몬이 영향을 받아 향후 불임이나 암이 유발되진 않을지'에 대한 것이다. 여러 연구 자료에 따르면 조기 초경이 오히려 유방암의 위험인자로 보고됐고, 또 초경이 빠르면 불임 위험도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어 결과적으로 성조숙증임에도 치료를 미루면 향후 질병으로 발전할 위험에 더 노출될 수 있다.
성조숙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소아비만을 잡아야 한다. 요즘 성장기 아동들은 인스턴트 식품에 쉽게 노출되는데, 이를 최대한 피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고르게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을 챙겨 먹는 것이 좋다. 또 학원 등의 일정으로 밤늦게 식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녁 식사시간은 오후 6시 30분으로 정하고 될 수 있으면 7시 30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규칙적인 수면도 중요하다. 불규칙한 수면은 식이의 불균형으로 이어지고, 성장호르몬의 분비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성장호르몬은 보통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많이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잠든 후 한두 시간이 지나면 깊은 수면에 들어가면서부터 활발히 분비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에 충분히 숙면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면시간은 하루 8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더불어 점프 동작이 포함된 유산소성 운동은 성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운동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을 병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다. 간혹 성조숙증 주사치료를 '키 크는 주사'로 생각하고,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님에도 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 또한 자녀의 건강을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는 상황이므로 오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대전을지대병원 소아재활의학과 채민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