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_110212](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1.jpg) |
사진 왼쪽부터 김덕균 소장, 김기황 원장 |
“김덕균 중국 산동사범대학교 한국학연구소장님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친정에 돌아와 여러분을 만나니 정말 반갑고 기쁩니다. 환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207_114322](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10.jpg) |
김덕균 소장의 특강후 한효진 임직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
한국효문화진흥원(원장 김기황. 이하 한효진)에서 효문화연구단장을 7년간 역임하고 지난해 7월 정년퇴임 한 뒤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원으로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산동사범대학교 한국어과 교수 겸 한국학연구소장으로 부임한 김덕균 철학박사가 겨울방학을 맞아 7개월만에 7일 오전 10시반 친정인 한국효문화진흥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20250207_110726](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2.jpg) |
김덕균 소장이 한효진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강하고 있다. |
중도일보 오피니언면에 ‘오늘과 내일’ 칼럼을 집필 중이기도 한 김덕균 소장은 이날 김기황 한효진 원장과 정진항 사무처장 등과 반가운 재회를 한 뒤 오전 11시부터 한효진 직원들을 대상으로 ‘효문화 비전과 한효진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제목으로 특강했다.
![20250207_115850](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3.jpg) |
소순갑 한국효지도사협회 회장과 박상도 대한노인회대전시연합회장도 자리를 함께 하고 김기황 원장과 김덕균 소장과 한국효문화진흥원에서 3월에 있을 효문화 포럼을 주제로 간담회 시간을 가졌다.사진 왼쪽부터 소순갑 회장, 필자, 김기황 원장, 박상도 회장, 김덕균 소장. |
이날 소순갑 한국효지도사협회 회장과 박상도 대한노인회대전시연합회장도 자리를 함께 하고 김기황 원장과 김덕균 소장과 한국효문화진흥원에서 3월에 있을 효문화 포럼을 주제로 간담회 시간을 가졌다.
![20250207_104809](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4.jpg) |
김덕균 소장이 저술한 <한국효문화의 이해> 책을 김기황 원장이 소개하고 있다. |
김덕균 소장은 국립민속박물관 12월의 책으로 선정된 김 소장의 저서 <한국효문화의 이해>를 소개했다.
![20250207_110411](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5.jpg) |
김기황 원장이 인사말하며 김덕균 소장을 소개하고 있다. |
김기황 원장은 인사말에서 “한효진 창설 멤버이자 효학의 전문가인 김덕균 소장님은 한효진에서의 7년 재직 기간 동안 맏형이자 큰 오빠 같은 역할을 하면서 직원들의 화합을 도모하고 효와 관련된 전문교육을 많이 해주셨다”며 “연구단장님으로서 많은 연구 성과를 내주셨고, 오늘 특강을 위해 중국에서 비행기 타고 오신 뒤 자택인 부천에서 눈 쌓인 거리를 4시간을 달려 와주셔서 너무너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0250207_111629](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6.jpg) |
김덕균 소장이 특강하고 있다. |
김덕균 소장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 “고향 대전은 저에게 가장 소중한 안식처이고, 한국효문화진흥원은 친정이나 다름없는 정든 곳”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중국에서 한국효문화진흥원 자랑을 많이 하고 산다”며 “이 시대에 맞는 가장 현실적이고 확실한 효는 한효진에서 진행해온 칭찬 감사운동”이라고 전했다.
![20250207_114435](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7.jpg) |
사진 왼쪽부터 김기황 원장과 김덕균 단장. 서로에 대한 존경과 신뢰로 멋진 브로맨스를 보여주는 사이다. |
김 소장은 “획일화된 가족문화 개선을 위해 확실한 방법을 개발해 제공하는 게 우리의 역할”이라며 “효의 개념은 불변하는 것이라서 훼손하면 안되고, 현시대에 맞게 방법을 달리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원사업에 7개국이 공모해 5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중국 산동성의 산동사범대학 교수로 부임한지 7개월”이라며 “대학에서 한국학자로서 유무형 한국의 효에 대한 자원을 DB화 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207_114021](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8.jpg) |
김기황 원장이 김덕균 소장의 중국내 활동에 대해 전하고 있다. |
김 소장은 “한국효문화진흥원이 개원할 당시 서울에서 대학교수 하다가 자발적으로 한국효문화진흥원에 지원한 저는 배산임수 풍경 아래 명당으로 손꼽히는 이 곳에서 7년 동안 정말 재밌고 행복하게 가슴 뛰는 일을 해왔다”며 “언제나 열정적으로 웃으며 긍정적으로 일을 하는 것을 즐긴다”고 말했다.
![20250207_114323](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02m/09d/2025020901000551500022049.jpg) |
김덕균 소장이 친정인 한효진을 방문한 자리에서 특강후 김기황 원장과 직원들과 단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
김 소장은 “제가 좋아하는 단어인 ‘인인’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은데 하나의 인은 내 마음에 칼날이 들어와도 참고 인내하고 어진 것이고, 다른 인은 안다는 것”이라며 “한효진 직원 여러분은 이 아름다운 곳에서 횃불처럼 밝게 빛나는 기관을 만들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