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령인구 감소 속 매년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어남에 따라 대전교육청이 특수학교를 신설할 예정이다. 학교 개교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그 이전까지는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사진은 6일 오전 대전교육청 앞에 걸린 특수학교 신설 부지 확정을 환영하는 현수막 모습. 임효인 기자 |
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1월 기준 대전 초·중·고 특수학급은 총 235개 학교 355개 학급이다. 3월 본격 시작되는 신학기 기준 특수학급 수로, 2024년 1월 기준 초·중·고 232개 학교 343개 특수학급(9월 기준 초·중·고 234개 학교 345개)에서 증가했다.
학생 수 변동에 따라 학급 5개 감소와 함께 2개 학교에 특수학급이 1개씩 신설되고 13개 학교에도 학급이 1개씩 증설됐다. 2025년 1월 기준 학교급별 특수학급은 초등학교 131개 학교 210개 학급, 중학교 69개 학교 85개 학급, 고등학교 35개 학교 60개 학급이다.
특수학급은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 내 설치되는 학급으로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어남에 따라 매년 추가 설치되고 있다. 현재 특수학교가 대상자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면서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이 이를 대체하는 실정이다. 지역 내 특수교육 대상자는 2024년 1월 기준 3318명에서 2025년 1월 기준 3719명으로 400여명 늘었다. 전체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데 반해 특수교육 대상자는 늘면서 그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
연초 서남부권 특수학교 신설 용지가 확정되긴 했지만 개교까진 시간이 걸릴 예정으로, 특수학급 수요는 지속적으로 잇따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특수교육 대상자는 있지만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도 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어나면서 신규 특수학급을 모두 신설하기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면서다.
2024년 1월 특수학교 미설치학교는 초등학교 7곳, 중학교 14곳, 고등학교 10곳 총 31개 학교에서 2025년 현재 초등학교 13곳, 중학교 9곳, 고등학교 13곳 총 35개 학교로 변동됐다. 중학교를 제외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엔 특수교육 대상자가 있지만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다.
대전교육청 유초등교육과 관계자는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어나면서 특수학급 미설치교가 늘고 있다. 경미한 장애가 있는 학생 중엔 특수학급 배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며 "일부 공간 부족으로 특수학급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특수학급 신설을 막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