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도 대전시 등 5개 광역시까지 하락 지속세가 꺾일 줄 모른다. 총소득과 대출 이자 및 원금 상환액을 고려해 대출 한도를 정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변화가 거론되는 건 자연스럽다. 정책의 타당성, 실효성을 살피고 일관성은 따져야겠지만 지방의 거래 부진, 매출 적체를 덮어둬서는 안 된다. 주거의 70%를 차지하는 아파트 관련 대책의 총체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작금의 상황은 단순히 물량 공급이 늘어나 그 격차가 확대된 때와는 양상이 다르다. 어떤 대책도 수도권 집값은 못 잡으면서 거래 양극화, 집값 양극화만 부추겼다. 지역 건설사 입장에선 팔아도 남는 게 없다는 판에 안 팔리기까지 한다. 여기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 주택 공급 과잉, 대형 브랜드 단지 선호와 같은 요인들이 겹친다. 분양시장에서의 수요 쏠림에 따른 미분양 쇼크는 집값 안정이라는 큰 목표에서도 멀어지게 한다.
비수도권은 이래저래 위험 수위다. 미분양 주택 거래 때만이라도 DSR 대출 규제를 한시 완화하는 게 맞다. 효과가 제한적일 수는 있다.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감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엮여 있어서다. 미분양 주택 취득 시 양도세 면제 등 다른 대책들도 곁들여야 할 이유다. 서울 부동산은 타오르고 지방은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으로 10여 년 만에 가장 나쁜 최대치를 경험하는 중이다. 정부, 금융감독원이 정말 '신중히 고려'할 것은 바닥 모르는 지방 부동산 시장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