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상공회의소 전경 |
조사결과 구미 제조업체의 37.6%는 올해 수출이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36.7%가 감소, 25.7%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이들 응답 업체는 올해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대외 리스크 요인에서 '트럼프 2기 통상정책(34.3%)'을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유가·원자재가 변동성' 14.2%, '전쟁 등 지정학 긴장 장기화' 12.7%, '수출·산업경쟁력 약화' 12.3%, '중국 내수침체'와 '고환율 기조'가 각각 9.8%, '세계 공급 망 재편·블록화' 5.4% 순이었다.
올해 내수 판매의 경우 구미 제조업체의 48.0%가 전년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하한 반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36.3%, 증가 15.7%로 조사됐다.
또 올해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대내 리스크 요인으로는 응답 업체 29.7%가 '물가 변동성 확대'를 가장 많이꼽았다.
이어 '경제·사회 양극화 심화' 28.7%, '가계부채 심화'와 '건설·부동산 시장 위축'이 각각 10.4%, '기업부담 입법 강화' 8.9%, '고령화 등 내수구조 약화' 4.5%, '노사갈등 리스크' 3.0% 순이었다.
구미 제조업체의 올해 경영계획 수립 환율은 달러 당 평균 1346원으로 2024년 수립 환율(1263원)대비 83원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 환율(한은 올해 1월말 기준)은 1453원으로 기업의 전망치보다 약 107원 높아 원자재와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게는 큰 타격일 것으로 예상됐으며 자금조달금리전망치는 3.69%로 현재 중소기업 대출금리보다 다소 낮게 전망됐다.
올해 한국경제성장률의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 업체의 87.3%는 경제성장률을 2.0%미만으로 예상하고 있어 정부를 비롯한 국내외 주요기관의 전망치(2.0~2.5%)보다 낮게 전망됐다.
'한국경제가 언제 회복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지의 질문에는 올해(2025년)부터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36.3%로 가장 많았다.
구미상공회의소 심규정 경제조사팀·기업유치팀장은 "지난해 구미는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도 수출 283불을 기록하며 꾸준한 투자유치는 물론, 인구감소세도 완화되고 있지만 올해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통상환경이 더욱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단했다.
심 팀장은 "기업의 환율리스크관리 강화와 수출시장다변화 등 자구책을 마련하는 한편 구미시의 국책사업을 유치한 이후 더욱 촘촘한 수혜전략을 짜야한다"지적했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