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미리캔버스 |
출처=미리캔버스 |
첫째, 방학시간표 만들기
겨울방학동안에는 학교에 등교하여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와는 달리, 가정에서 자유롭게 보내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따라서 자녀와 함께 상의하여 겨울방학 하루 일과 시간표를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녀가 스스로 시간표를 작성하면 하루 중 언제, 무엇을 할지 본인이 직접 정하게 되어 자기주도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겨울방학 시간표대로 생활을 잘했을 때 자녀에게 좋아하는 작은 이벤트를 선물하면 더욱 좋습니다.
둘째, 독서습관 만들어 주기
평소에 독서를 잘하는 아이와 독서를 하지 않는 아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에 대한 이해도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등 고학년부터 중·고등학교에 진학할수록 개념 설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독서를 하지 않는 아이는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방학 동안 아이들이 평소 관심 있는 분야의 책이나 흥미로운 책을 통해 독서에 관심을 갖게 된다면, 겨울방학이 끝난 이후에도 독서를 즐겁게 하는 좋은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다양한 경험 체험하기
공부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지역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새로운 환경을 접할 수 있는 가족여행도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장소에서의 다양한 체험을 통해 더 넓은 시야로 세상을 바라보고, 미래의 꿈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넷째, 우리 가족 다 함께
겨울방학 동안 산책,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 야외 운동을 계획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증진시켜 서로를 더욱 친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방학 동안 아이들이 집안 청소, 설거지, 요리 등과 같은 집안일에 많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들의 독립성과 책임감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간의 의지와 사랑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겨울방학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학생들이 모두 즐거운 겨울방학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사진: 미리캔버스 AI생성 - 차오준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