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두끼 프로젝트./김해시 제공 |
시는 위기상황 대상에 대해 '선 지원 후 조사' 방침으로 생계·의료·주거 지원 등을 제공하는 공적지원서비스 외에도 민간자원을 추가로 발굴해 어려운 환경을 해결한다.
이에 따라 시는 긴급복지 40억원, 희망지원금 4억3500만원, 119 가야 행복충전사업 1억5000만원, 정성한끼 3000만원, 행복두끼 8400만원을 대상자별로 적기에 지원한다.
긴급복지 지원은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실직, 중한 질병 등 사유로 생계, 의료, 주거 급여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준중위소득 75% 이하의 대상자들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전년대비 8.1% 예산이 늘었다. 지난해는 4084세대 5550명에게 37억3100만원의 긴급복지를 지원했다.
희망지원금은 올해 신설된 경남형 생계위기 지원제도로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도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도민에게 '경남도 저소득 주민의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생계, 의료, 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실직, 폐업, 질병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이며 기준중위소득 90% 이하로 많은 대상자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
119 가야 행복충전사업은 김해형 위기가구 발굴지원사업으로 ㈜휴롬이 후원하고 김해시, 김해시종합사회복지관의 협약으로 지난해 처음 1억원 후원으로 시작됐다. 올해는 50% 증가한 1억5000만원 후원으로 더 많은 대상자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민간후원 지원사업으로 정성한끼사업은 ㈜월드이노텍, 상지종합건설의 후원으로 3000만원을 확보해 긴급한 위기가구에게 15만원 상당의 식료품, 생필품을 지원한다.
행복두끼지원사업은 8400만원 후원으로 결식아동 40명에게 1년 동안 1만400식(주 5식)의 밑반찬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홍태용 김해시장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다양한 위기사항에 대비한 입체적 복지안전망을 마련해 꿈이 이루어지는 따뜻한 행복도시 김해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해=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