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전·세종·충남의 수출 품목 1위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전자제품으로 전체 수출액의 55.9%(551억5100만 달러)에 달한다. 지난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17개 시·도 중 수출 2위를 탈환한 충남지역 수출기업들의 걱정은 크다. 충남은 2023년 울산에 내줬던 수출 2위 자리를 반도체 호황 등에 힘입어 탈환했으나 트럼프 정부가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시행하면서 타격을 입을 상황에 처했다. 지역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은 전기전자·석유화학·기계류 등 대부분 무관세 제품으로, 관세 부과 시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시점(현지 시간 4일 0시)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한 달 유예를 발표했다. 한 달 간의 관세 유예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의지 약화로 보기 어렵다. 현지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라는 시한폭탄의 뇌관을 제거한 것이 아니고 일시정지했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면서 관세 위협을 협상 전략으로 사용한다고 분석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4일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힌 것도 국제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한 언급이다. 급격한 통상 환경 변화는 수출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은 물론이고 지자체 투자 유치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기업이 한국 경제에 닥친 불확실성의 파고를 큰 피해 없이 헤쳐나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