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대전 서구 한 독립서점에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사진=최화진 기자 |
이는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따른 독서 문화 확산 등 이른바 '한강 효과'가 커지는 데 찬물을 끼얹는 처사라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일각에선 이번 행정당국의 예산 삭감으로 지난해 경영난으로 폐업한 계룡문고와 유사한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대전시와 5개 구에 따르면, 올해 시는 지역서점 관련 지원으로 지역서점위원회 운영만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위원회의 운영비는 210만 원에 불과하다. 지난해에는 약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북페어를 개최했으나 혹평을 받으며 올해는 해당 사업의 예산 편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5개 구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현재 5개 구에서 진행 중인 지역서점 관련 사업은 중구의 북페스티벌과 유성구의 독서대전 두 가지뿐이다. 이들 사업은 올해 각각 9000만 원과 2억 원의 예산이 편성돼 있지만, 이는 지역서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아닌 독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 외의 지원은 도서관과 연계한 사업에만 한정돼 있다. 도서관 도서를 지역 인증 서점에서 구매하는 도서구입 제도나 도서관에 입고되지 않은 도서를 서점에서 미리 빌릴 수 있는 희망도서 바로대출 서비스, 도서관 대출반납 포인트로 지역서점에서 할인받을 수 있는 독서포인트 제도 등이 그 예다. 특히 도서구입 제도는 순번제 형식으로 일부에게만 적용되거나 대량 구매로 할인이 적용되는 등 지역서점에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서구의 한 지역서점 대표는 "계룡문고와 같은 대형 지역서점도 재정난으로 폐업하는 상황에서 지원까지 줄어들면 대전에 지역서점이 남아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최근 독서 붐이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지역 서점들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해 12월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2030대를 중심으로 독서와 필사를 즐기는 이른바 '텍스트 힙'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지만, 대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다.
중구의 한 지역서점 대표는 "최근 독서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특히 성심당을 중심으로 대전에 관광객들이 유입되면서 지역 서점 손님의 70% 이상이 관광객이다"라며 "지역서점과 연계된 관광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도 지역서점을 살리는 방법 중 하나"라고 했다.
이에 대전시 관계자는 "올해 시 전반적으로 예산이 부족해 신규 행사 유치에 예산 편성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북페어 관련 예산을 이후 추경에 반영하는 등 지역서점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