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보건소 어르신 근력운동 프로그램 운영

  • 전국
  • 충북

증평보건소 어르신 근력운동 프로그램 운영

  • 승인 2025-02-04 10:57
  • 박용훈 기자박용훈 기자
협압,혈당 등 기초 검사 모습)
증평보건소가 4일 체력인증센터에서 노인탁구회 회원 대상 어르신 맞춤형 근력운동 프로그램 일환의 협압, 혈당 검사를 하고 있다
증평군보건소가 4일 체력인증센터에서 지역 노인탁구회 회원 대상 어르신 맞춤형 근력운동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갔다.

어르신들의 건강관리와 활력있는 노년을 위한 이번 프로그램은 이날을 시작으로 주 1회씩 매주 화요일 총 24주 진행된다.

프로그램에서는 혈압, 혈당 등 기초 검사, 노인 신체기능 검사, 치매선별검사와 함께 근력운동, 통합 건강증진 교육 등 운동과 보건교육을 병행 운영한다.

군 보건소는 이번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들이 탁구를 통한 전신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 건강교육까지 받아 효과적인 신체기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조미정 소장은"앞으로도 어르신들의 건강한 일상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3.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4.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5. 세종시 '바로타', 행복도시권 대중교통 편익 극대화
  1. 세종시 '희망2025나눔캠페인' 반전의 역사 쓰고 마무리
  2. 행복도시 자족성장의 토대 '3·4생활권'...갈 길이 멀다
  3. 대전고법원장 이원범·청주지법원장 조미연
  4. 교권보호위원회 개최해도 학부모 처벌 어려워… 교사들 "오히려 보복 당할라" 위축
  5. 충남도의회, 2025년 첫 임시회 개회… 행정통합 특위 구성·충남연구원장 인사청문 등

헤드라인 뉴스


의사 수 이미 줄었는데 신규배출도 절벽… 인력 수급 빨간불

의사 수 이미 줄었는데 신규배출도 절벽… 인력 수급 빨간불

의과대학 증원 문제를 놓고 정부와 의료계가 갈등을 1년째 이어가는 동안 대전과 충남에서 활동하는 의사 수가 2019년 관련 통계가 마련된 이후 최저 수준까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800여 명에 이르던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의 의사가 대거 사직한 결과인데 올해는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새내기 의사도 감소할 예정으로 의사 인력난까지 우려되고 있다. 3일 중도일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전에서 진료하는 의사 수가 2024년 4분기 기준 3484명으로 2019년 이후 통계 중에서 가장 적은 수..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