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마지막 갓 쓴 선비 강헌 선생의 소망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기고] 마지막 갓 쓴 선비 강헌 선생의 소망

이석우 전 계룡용남고 교장

  • 승인 2025-02-04 13:33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이석우
이석우 전 계룡용남고 교장
우리는 매년 설과 추석 명절을 보낸다.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산소를 찾아 성묘도 한다. 여기에서 만나는 대상은 주로 같은 족보(族譜)에 얽혀 있는 사람들이다.

족보는 한 가문의 계통과 혈연관계를 부계 중심으로 도표 형식의 책으로 제작한 것이다. 지금은 인터넷 족보도 출현하고 있다. 또한, 출산율 저하에 따라 대가 끊어지기도 하고 족보도 단출해질 것이다. 심히 안타까운 일이다. 족보를 통해 사람들은 가문(家門)의 단합을 끈끈하게 했고 조상에 대한 공경심을 키웠다.

족보를 연구하는 학문을 보학(譜學)이라 한다. 보학은 일반적인 족보의 역사를 고찰하기도 하고 각 가문의 족보에 나타난 혈통과 구성원을 살피고 시조(始祖)까지 소급하여 인물의 역사를 탐색하는 것이다.

강헌(剛軒) 이종순(李鍾醇) 선생(1931∼2000)은 보학의 대가였다. 초려(草廬) 이유태 선생의 11대손으로 선비정신을 지키기에 어긋남이 없었다. 성암(醒菴) 이철영 선생의 종손자로 항일운동의 뜻을 받들어 평생 보발을 하고 두루마기에 갓을 쓴 모습으로 출입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국사편찬위원회 연구위원으로 재임하기 전까지 10여 년을 족보 관련에 매진했다.



강헌은 족보에 대해 매우 밝았다. 전국 성씨의 항렬 글자와 그 소목(昭穆)을 꿰고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사람의 이름을 들으면 바로 그 이름의 한자(漢字) 표기나 부친과 그 형제들 이름을 예상해 말했다. 강헌에게 이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돌림자를 알고 나면 나머지 한 글자는 대개 이름에 쓰이는 한자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름에 특별한 벽자(僻字)를 쓰는 경우는 예외였다. 강헌은 사람들이 희언으로 '걸어 다니는 족보'라 일컬을 만큼 뛰어난 안목을 지니고 있었다.

'강헌집'에는 중앙화수회 설대동보역(中央花樹會設大同譜役), 증정 족보문화사 신창(題呈族譜文化社新創) 등의 한시(漢詩) 작품과 '가락김씨 삼현파 가승보 서(駕洛金氏三賢派家乘譜序)', '경주이씨 청계공 파보 서(慶州李氏淸溪公派譜序)', '이천서씨 비인공 파보 서(利川徐氏庇仁公派譜序)', '합천이씨 기사보 서(陜川李氏己巳譜序)', '봉산지씨 족보 서(鳳山智氏族譜序)', '경주이씨 월성군 파보 서(慶州李氏月城君派譜序)' '경주이씨 모산공파 부사공파 세보 서(慶州李氏 茅山公派 府使公派 世譜 序)'등 여러 가문 족보의 서문을 한문으로 쓴 글이 수두룩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에 담겨 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족보에 기록되는 내용은 한 인물의 생년월일시, 사망일, 묘소 위치와 좌향, 결혼 관련 사항, 벼슬한 내용, 행적 등이다. 족보의 가치는 족보를 지키고 편수함으로써 사람이 사람다워지고 나라가 나라다워질 수 있다고 했다. 족보가 존재하고 활용됨으로써 인륜이 밝아지고 기강이 확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족보의 의의에 대해 선대, 방계, 자손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상술하고 있다. 먼저, 선대의 업적을 알고 그러한 행동을 본받고자 노력하며 효경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은 동시대에 살고 있는 방계 일가친척끼리 돈독하고 화목하게 지내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자손에게 선한 영향을 끼치는 자애로운 마음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집안 족보의 제작이 각각의 집안에 여기저기 일어나면서 사람들은 자기의 조상에 대해 말할 수 있고[述其祖], 근본을 소급할 수 있으며[溯其本], 종중을 돈독히 하고[敦其宗], 그 족친을 거두어 돌보는[收其族] 밑바탕이라 했다. 천백 세대에 족보가 면면히 전해짐에 세상이 선하고 풍속이 아름다워진다고 했다.

족보의 갈래로는 세 가지 부류로 언급하고 있다. 먼저 대동보(大同譜)는 시조를 중심으로 하여 만들어져 수십 권의 방대한 자료이다. 파보(派譜)는 중시조를 중심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가승(家乘)은 일정 부분의 친척들로 이루어져 만든 작은 족보로 가계도를 확장하여 족보 형식으로 갈아탄 것이라 할 수 있다. 가승이 작은 힘을 들이고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족보의 편수(編修)는 30년마다 해야 한다고 했다. 30년은 한 세대를 말한다. 이 기간에는 태어난 사람, 결혼한 사람, 새로운 관직·직장에 나가는 사람, 죽은 사람 등 족보에 새롭게 수정하거나 추가 기록할 내용이 많이 나타난다. 이 내용을 첨가해 족보를 편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명인륜(明人倫)하고 입기강(立紀綱)하는 것이라 했다.

족보를 만드는 절차는 제일 먼저 의논을 모아 족친(族親)들에게 알리고 협조를 요청하는 일이다. 이후 자체 규약을 정하고 예산을 확보하며, 그다음은 단자를 거두는 즉 수단(收單)하는 일이다. 최종적으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족보를 재구성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도 이름을 명기하고 아들딸 기록하는 순서에 아들을 앞에 기록할지, 출생 순서에 따를지를 규약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국역도 검토하고 기존에 간지(干支)만을 사용한 연도 표기방식도 시대의 흐름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은 대가족이 함께 기거하는 시대가 아니라 핵가족 시대다. 농촌 공동체 사회에서 도시 지역으로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다. 친척들도 명절에야 만날 정도다. 이에 족보 구성원 사이에 유대감을 다져 나가는 길이 사람다운 삶의 길임을 제언(提言)한다.

이석우 전 계룡용남고 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3. 행복도시 자족성장의 토대 '3·4생활권'...갈 길이 멀다
  4.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5.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1. 세종시 '바로타', 행복도시권 대중교통 편익 극대화
  2. 세종시 '희망2025나눔캠페인' 반전의 역사 쓰고 마무리
  3. 대전고법원장 이원범·청주지법원장 조미연
  4. 점조직 중고거래 사기 활개 쳐 대전도 피해 급증…예방법은?
  5. 교권보호위원회 개최해도 학부모 처벌 어려워… 교사들 "오히려 보복 당할라" 위축

헤드라인 뉴스


의사 수 이미 줄었는데 신규배출도 절벽… 인력 수급 빨간불

의사 수 이미 줄었는데 신규배출도 절벽… 인력 수급 빨간불

의과대학 증원 문제를 놓고 정부와 의료계가 갈등을 1년째 이어가는 동안 대전과 충남에서 활동하는 의사 수가 2019년 관련 통계가 마련된 이후 최저 수준까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800여 명에 이르던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의 의사가 대거 사직한 결과인데 올해는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새내기 의사도 감소할 예정으로 의사 인력난까지 우려되고 있다. 3일 중도일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전에서 진료하는 의사 수가 2024년 4분기 기준 3484명으로 2019년 이후 통계 중에서 가장 적은 수..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