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미래에 길을 잃지 않는 교육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미래에 길을 잃지 않는 교육

정상신(대전미래교육연구회 회장)

  • 승인 2025-02-10 08:45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20240602010000001000149412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유명한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는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의 수명과 관련하여 "2050년대 세상이 어떻게 달라질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 자녀 세대가 40대가 되었을 때 그들이 학교에서 배운 내용 중 80~90%는 쓸모없을 확률이 높다"고 하였다. 잘 들여다보면 이 예측은 이 시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기에 굳이 예측이라고 말할 필요도 없다. 우리는 이미 지식의 생성과 소멸이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 하나로 평생을, 아니 20~30년을 버팀목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현재에도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지식은 미래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많은 도구 중 하나일 뿐인데, 학교 교육을 지식교육과 동일시하는 점은 아쉽기만 하다. 학교 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들에게 묻는다면 학교 교육은 학생의 신체적 발달과 정서적, 인지적 성장, 그리고 교과 학습으로 구성되어 한 개인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교육활동이라고 말할 것이다.

미래는 성큼 다가오는데 기술의 변화로 세상의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자고 나면 새로운 문명이 등장하는데... 미래는 두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렇듯 아직 안 가본 '미래'의 특징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일 것이다. 미래사회는 무척 빠른 기술변화로 새롭고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고 사라지기를 거듭하기에 불확실하다고 말할 수 밖에 없으리라. 그러나 위안이 되는 말로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in)은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 다만 골고루 퍼지지 않았을 뿐이다"라고 했다. 과거-현재-미래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미래에서 교육은 우리 아이들이 뒤처지거나 길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한 최선의 방책이 된다. 그래서 많은 석학들이 미래에 대한 해결방안을 교육에서 찾으라고 한다. 교육은 본래 인성교육과 지식교육이라는 두 개의 바퀴로 굴러가는 수레와 같은 것이다. 지식교육이 기술변화를 불러오고 물질적 풍요로움과 번영, 그리고 편리성의 세계를 가져다준다면, 그 속에서 질서와 평화를 유지하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은 인성교육의 몫이 된다. 인성교육과 지식교육의 조화와 협력이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살아갈 미래에 꼭 필요한 교육이다. 그 둘 중에 미래라는 길을 만들어가는 것이 지식교육이라면, 그 길에서 방향을 잃지 않고 인간의 삶을 살아가게 지탱해주는 것이 인성교육인 것이다. 무엇이 더 중요하고 우선이냐 하는 것은 생각하는 사람의 몫일 것이지만 두 바퀴가 다 필요하다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학교에서 근무할 때 듣기 억울했던 말이 "학교가 잘못 가르치니 학원에 가서 공부한다"는 말이었다. 자식을 키우는 엄마의 입장에서 볼 때 이해가 되기도 하였다. 내 아이의 성적표, 교과 점수는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눈에 보이는 유혹이다. 자식을 학교에 보내고 성적표 점수 잘 나오기를 바라는 부모의 바람은 당연하다. 그러나 우리 아이의 신체 발달이 또래와 같은지, 자기 의사를 잘 표현할 수 있는지, 마음은 얼마나 착한지, 배려심이 있는지, 성실한지, 인사 잘하고 예의 바른지, 자신의 일은 스스로 할 줄 아는 아이인지, 준법정신이 높은지,양보할 줄 아는지, 부모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깊은지 등등의 신체적 정의적 성장 과목에 대한 점수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성과 학력 어느 하나 버릴 수 없기에 둘 다 똑같이 관심을 가지고 욕심껏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성교육이 바르게 되어야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길을 잃지 않고 바르게 살아갈 수 있고 우리들도 그들의 선배로서, 가족으로서 함께 행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정상신(대전미래교육연구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대전 초등학교 1학년 아동 학교서 피살… 병원서 사망 판정
  2. 대전교육청 "초등 사망 용의자는 40대 교사… 11일 오전 브리핑"
  3. 대전 초등학생 피습 용의자 자백… 경찰 40대 여교사 긴급 체포
  4. 대전시 꿈돌이 마케팅 … 전국 '캐릭터 大戰' 칼뺐다
  5.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1. [대전 학교 체육시설, 굳게 닫힌 문] 안전·관리 부담에 개방률 감소세… 지역 주민 "운동공간 부족"
  2. [한성일이 만난 사람]박세용 대전시 시니어 특별보좌관
  3. [건강] "갑자기 눈이 흐려요" 겨울철 눈 중풍때 빠른 처치를
  4. 황운하의 '범민주진보 연합군' 구상… "다음 대선서 압도적으로 승리해야"
  5. [오늘과내일] 발주자인가? 도급인인가?

헤드라인 뉴스


대전 초등생 학교서 피습 사망… 현장서 체포된 교사 범행 자백

대전 초등생 학교서 피습 사망… 현장서 체포된 교사 범행 자백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8세 여학생이 흉기에 찔려 숨진 사고에 대해 현장에서 체포된 40대 여교사가 범행을 자백했다. 10일 대전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50분께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인 8세 여학생이 흉기에 찔려 쓰러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현장에서 목과 오른팔에 자상을 입은 40대 여교사를 유력 용의자로 긴급 체포했다. 해당 여교사를 자상을 입은 상태로 대학병원으로 옮겨졌고, 생명에 지장이 없어 경찰 조사 끝에 범행 일체를 자백했다. 또 해당 여교사의 자상은 자해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초등학교 1학년..

대전 꿈돌이라면 시식해보니 "시판제품과 유사…캐릭터 돋보여"
대전 꿈돌이라면 시식해보니 "시판제품과 유사…캐릭터 돋보여"

"맛이 일반 라면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네요. 꿈돌이 캐릭터가 눈에 띄는데 앞으로 붐 조성을 잘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대전시가 대표 캐릭터를 앞세워 만드는 야심작 '대전 꿈돌이 라면'이 5월 출시 예정이다. 본보 기자가 10일 대전시청 구내식당에서 열린 시식회에 참석해 라면을 직접 먹어봤다. 라면봉지는 대전의 대표 상징들로 꾸며졌다. 꿈돌이와 꿈순이 캐릭터가 크게 자리를 잡았고, 대전엑스포의 상징인 한빛탑과 엑스포 다리가 자리를 잡고 있다. 끓여진 라면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꿈돌이 모양의 어묵이다. 라면 건더기 스프에는..

충남도 투자유치 `탄력`… 반도체 등 21개사 5613억원 유치
충남도 투자유치 '탄력'… 반도체 등 21개사 5613억원 유치

충남도의 투자유치 활동에 탄력이 붙고 있다. 이번엔 반도체 등 21개사 5600억원을 유치하면서 도의 민선8기 최종 목표인 45조원 달성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1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박상돈 천안시장 등 9개 시군 단체장·부단체장, 김종학 태성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9개 시·군 산업단지 등 38만 5326㎡의 부지에 총 5613억 원을 투자해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이전한다. 이에 따른 신규 고용 인원은 1400여 명이다. 구체적으로 2차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액운아 물럿거라’ ‘액운아 물럿거라’

  • 출시 앞둔 대전 꿈돌이라면…‘맛은 어떨까?’ 출시 앞둔 대전 꿈돌이라면…‘맛은 어떨까?’

  • 눈 내리는 대전 눈 내리는 대전

  • 폭설 뒤 줄잇는 세차 행렬 폭설 뒤 줄잇는 세차 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