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체육회에 따르면 한마음체육대회는 '활력 넘치는 스포츠도시, 건강한 천안시민'이라는 슬로건으로 종합운동장 및 종목별 경기장에서 12개 정식종목과 14개 생활체육종목 선수 간 기량을 선보여왔다.
그동안 천안시민한마음체육대회는 도민체육대회에 출전할 선수를 선발하기 위해 관행적으로 경기 참가자격을 25세 이상으로 규정해와 일부 선수 및 관계자들로부터 나이 제한에 대한 논란을 샀다.
실제 2024년 10월에 열린 대회에서도 시민 화합을 도모하고 소통하는 자리라는 좋은 취지로 마련됐지만, 경기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에 나이 제한이 걸리면서 차별적인 대회라는 평이 돌았다.
읍면동 12개 종목 경기 요강에서 배구를 제외한 육상, 축구, 테니스, 씨름, 배드민턴, 족구 등의 참가자격을 199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당시 대회 비용으로 투입된 예산은 읍면동 지원금 6억3100만원, 행사대행용역비 1억5000만원, 종목단체 지원금 1억140만원, 행사참여 보상비 5750만원, 일반운영비 3210만원, 행사운영비 2000만원, 행사추진비 1000만원, 물품구입비 1000만원, 시설비 800만원 등 10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참가자격을 박탈당한 24세 이하 선수들은 한마음체육대회가 시민 화합보다 도민체전에 출전하기 위한 예선전에 불과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천안시체육회도 도민체전 출전선수 발굴을 위한 목적이 현저히 퇴색된 현재 상황에서 나이 제한 개정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천안시체육회 관계자는 "천안시민한마음체육대회는 도민체전에 출전할 수 있는 나이를 기준으로 경기를 운영해 왔다"며 "하지만 나이 제한에 대한 의미가 퇴색돼 3월 발족할 시민체육대회 위원회를 통해 논의한 뒤 개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충남도체육회 관계자는 "오래전부터 일반부에서 25세 이상만 출전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은 특정 지역에 대학교가 쏠려 경기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근에는 시군 간 종목별 참가자격(나이)을 합의해 하한 연령을 낮출 수 있게 풀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