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택 삼남제약 대표 |
올해는 평안할까? 힘든 분들 삶이 조금이라도 나아질까? 많은 전문가들이 희망보다는 어려움을 예상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조금 먼 미래는 어떨까? 하마스의 공격으로 시작된 중동 지역의 전운이 이제야 조금씩 해결될 기미가 보인다. 헤즈볼라라는 무장단체를 이참에 '박살내겠다'던 이스라엘은 전 세계 사람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인륜을 무시해 가면서까지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 같다. 심지어는 이란과의 후환을 없애겠다며 이미 해체된 시리아의 군사기지까지 공격하는 말살 정책을 펴고 있다.
슬그머니 드는 의문은 '어째서 이스라엘은 자꾸 전쟁을 확대하는 것일까?' 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전쟁 좋아하는 미치광이들이 없진 않았지만 우리에게 유대인들은 <역사의 피해자>라는 인식이 있었다. 이스라엘이 건국 후 수많은 전쟁을 치렀지만 스스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작금의 행태는 너무 강경하고 너무 비인륜적이다.
그리고 우연히 본 유튜브에서 그 이유에 대해 조금은 납득할 만한 설명을 들었다. 인구 구조 문제라고 한다. 이스라엘의 인구는 1300만 명 정도 되지만 그 중 <하레디>라고 불리는 약 130만 명의 골수 유대교인들은 생산적인 일은 조금도 하지 않고 기도하고 명상하는 일상 외에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팔레스타인이 500만 명 정도 차지하고 있으니 결국 650만명이 130만명을 먹여 살리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하레디의 평균 출산률이 6.7명이나 되어 앞으로 일 하는 인구는 줄어들고, 일 하지 않는 인구는 늘어나면서 20년 후에는 650만 명이 하레디 400만 명을 먹여 살려야 한다. 2050년이 되면 현재 인구의 10%인 하레디의 비중이 20%로 증가할 것이고, 청소년 나이대로 대상을 국한시키면 하레디와 아랍인 비중이 50%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다시 말해 20년 후에는 이스라엘의 국력이 반토막 날 것인 반면, 숙적인 이란은 20년 후에도 현재와 같은 힘을 보유할 것이라는 것이 이스라엘이 걱정하는 암담한 미래이다. 따라서 지금 힘 있을 때 이란을 '박살내겠다'는 속셈이고, 같은 이유로 이란은 대응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의 20년 후는 어떨까? 우리 사회도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는 누구나 알고 있는 상수(常數)이고, 경제발전의 둔화,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의 부담, 정치적 갈등, 미국과 중국의 싸움 사이에서 터지는 새우등이 된 지정학적 위험, 등등…. 북한 문제도 커다란 위협이다. 만약 북한 정권이 무너지고 일시에 북한 주민들이 남으로 밀려 온다면? 우리는 먼 미래를 생각하는가? 가까운 미래라도 보고 있는가? 한 해 한 해 겪어가며 세월 가는 대로 근시안적인 눈으로만 세상을 보고 있지는 않은가? 어느 현자가 나타나 밝고 희망찬 미래를 열어주기를 '감나무 밑에서 입만 벌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새해에 걱정보다 진심어린 덕담을 나누는, 모두가 웃는 세상이 되기를 소망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