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학회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 지지… 실천적인 정책 수립 제안"

  • 사회/교육

한국천문학회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 지지… 실천적인 정책 수립 제안"

  • 승인 2025-02-03 17:20
  • 신문게재 2025-02-04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203165713
국내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한국천문학회가 3일 '어둡고 조용한 하늘'(DQS·Dark and Quiet Skies) 보호 지지를 천명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에 보다 실천적인 정책 수립을 제안했다. 어둡고 조용한 하늘은 인공위성 증가에 따른 빛공해와 전파 간섭을 줄여 천문 관측을 지원하고 생태계와 인간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을 일컫는다.

한국천문학회 2024년 8월 제32회 국제천문연행(IAU·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총회서 채택된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를 지지하는 결의안에 동의하는 성명을 이날 발표했다.

국제천문연맹은 2022년 '어둡고 조용한 하늘 지킴이 센터'(CPS·Center for the Protection of the Dark and Quiet Skies from Satellite Constellation Interference)를 출범하며 빛공해 등 관련 문제를 알리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UN 우주공간평화이용위원회(UN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는 어둡고 조용한 하늘을 2025년부터 5년간 공식의제로 논의하기로 했다. 대한민국 대표단은 2023년 6월 회의 당시 이 같은 DQS 보호 지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국천문학회는 성명을 통해 "학회는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보다 실천적인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학회는 우주 개발의 장점 이면의 문제점을 언급하며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군집 위성을 활용한 통신은 지구 구석구석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통신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매우 중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며 "군집 위성의 반사광으로 인해 밤하늘이 밝아져서 지상 광학 망원경의 천체 관측에 지장을 초래하며 전파 간섭으로 인해 지상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우주 전차를 관측하는 과학 활동에 장애를 일으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보호하는 것은 비단 천문학만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적, 심미적 유산을 보존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상상력을 유지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우주 개발을 위해서는 이러한 점을 반드시 고려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또 "우리나라의 지속 가능하며 조화로운 우주 개발을 위해 관련 국내외 기관 및 단체와 협력해 활동을 펼칠 것"이라며 "대한민국 정부가 국제사회에서 어둡고 조용한 하늘 보호 의제에 대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길 희망한다"고 촉구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3.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4.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5. 대전 교육공무직 결원 채용은 교원 부담… 체계적 선발시스템 절실
  1.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2. [DSC 공유대학] '공동학위·산학협력·공공기관 연계' 지역 인재 양성 중심 '우뚝'
  3. (사)대전시지체장애인협회-(주)아이씨푸드 장애인 드론교육 입교식
  4. NST 김영식 이사장 취임 조직 개편·인사 단행… 미래전략소통실 신설
  5. 송강사회복지관 ‘사랑해孝 설잔치’

헤드라인 뉴스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대전 고용시장이 최근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에 치중된 데다, 청·장년층 인구 감소세 등이 고용시장의 위축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고용시장의 경직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야기하기 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이 3일 발표한 '최근 대전지역 고용 상황의 주요 특징 및 평가'에 따르면 대전은 2023년 하반기 이후 전국 및 5대 광역시 대비 양호한 경제 성장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서비스업..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