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주택건설 업체 수 4년 만에 최저치… 자진반납·말소 늘어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주택건설 업체 수 4년 만에 최저치… 자진반납·말소 늘어

대전·세종·충남 지난해 444곳에 그쳐… 신규등록업체도 25곳 뿐
전국 신규 등록 업체 421곳 3년 연속 감소, 15년 만에 가장 낮아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불확실성 여전" 타개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

  • 승인 2025-02-03 16:59
  • 수정 2025-02-03 18:29
  • 신문게재 2025-02-04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게티이미지뱅크1
게티이미지뱅크.
건설경기 침체로 지난해 충청권 주택건설업 업체 수가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자진반납 또는 말소 업체 수는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과 비슷한 상황으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3일 대한주택건설협회 대전세종충남도회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주택건설 업체 수는 444곳으로 2023년(501곳), 2022년(557곳), 2021년(547곳)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이는 2020년 439곳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신규 등록 업체 수는 2021년 127곳에서 2022년(71곳) 급감한 뒤 2023년(21곳)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4년도 25곳에 그쳤다.

자진반납 하거나 말소한 업체 수는 2021년 30곳을 시작으로 2022년 66곳, 2023년 80곳, 2024년 83곳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는 421곳으로 3년 연속 줄었다. 연간 신규 등록 업체 수는 2009년(363곳) 이후 최저치다. 주택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주택시장이 뜨겁던 2021년 2191곳에 달했으나, 2022년 1086곳으로 반 토막 나더니 2023년 429곳으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사업을 영위할 수 없어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는 796곳으로 2023년(843곳)보다는 줄었다. 그러나 10년 장기 평균(606곳)보다 200곳 가까이 많다. 주택건설사업을 포기하는 업체가 그만큼 많았다는 얘기다.

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주택건설업 등록이 말소된 업체는 192곳으로, 전년(246곳)보다 54곳(22%) 감소했다. 이에 따라 2024년 주택건설업 등록업체는 전년보다 567곳(6.0%) 감소한 총 8823곳으로 집계됐다.

주택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설 경기가 침체하면서 종합건설업 역시 신규등록이 줄고 폐업은 늘고 있으며, 부도처리 되는 건설사도 속출하고 있다.

주택건설업체 수가 감소한 주요 원인은 고금리 부담, 공사 물량 위축 등 여파로 풀이된다. 다만, 지난해 신규 사업 물량이 2023년보다는 증가하면서 급감세가 멈춰 선 것으로 보인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대전 건설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탄핵정국에 따른 국내경제 우려 등 실물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산업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를 타개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3.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4.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5. 대전 교육공무직 결원 채용은 교원 부담… 체계적 선발시스템 절실
  1.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2. [DSC 공유대학] '공동학위·산학협력·공공기관 연계' 지역 인재 양성 중심 '우뚝'
  3. (사)대전시지체장애인협회-(주)아이씨푸드 장애인 드론교육 입교식
  4. NST 김영식 이사장 취임 조직 개편·인사 단행… 미래전략소통실 신설
  5. 송강사회복지관 ‘사랑해孝 설잔치’

헤드라인 뉴스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대전 고용시장이 최근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에 치중된 데다, 청·장년층 인구 감소세 등이 고용시장의 위축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고용시장의 경직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야기하기 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이 3일 발표한 '최근 대전지역 고용 상황의 주요 특징 및 평가'에 따르면 대전은 2023년 하반기 이후 전국 및 5대 광역시 대비 양호한 경제 성장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서비스업..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