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일하는 외국인 위한 정책 필요하다

  • 정치/행정
  • 대전

[다문화] 일하는 외국인 위한 정책 필요하다

대전 외국인주민 수 5년간 증가 추세
타 시도 비해 일하는 외국인 비중 달라... 차별화된 정책 중요

  • 승인 2025-02-03 17:10
  • 신문게재 2025-02-04 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통계
대전세종연구원에서 발표한 '대전에 사는 외국인들은 어떤 일을 할까' 발표 자료. 제공은 대전세종연구원
저출생·고령화가 갈수록 심화 됨에 따라 생산연령인구가 줄면서 외국인 주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전은 외국인 주민이 다른 시도에 비해 적은데다, 일을 하는 외국인 수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는 제조업 비중이 적은 산업구조에 따라 외국인 선호도가 높지 않은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과학도시답게 과학기술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이 많은 편이다. 최근 대전도 외국인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 일하는 외국인을 위한 다문화 정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법무부(2024년 9월 기준)에 따르면 대전시 등록 외국인은 2만5583명으로, 유성구에 가장 많은 8484명이 거주하고 있다. 다른 시도에 비해 수는 적지만, 대전의 외국인주민 수는 최근 5년 동안 4275명이 늘었고, 증가 추세다.

저출생 장기화 따른 생산인구 감소로 산업계에서는 외국인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대전도 이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발표한 '대전에 사는 외국인들은 어떤 일을 할까'에 따르면 대전의 유학생은 총 9585명인데, 이는 전체 외국인주민의 37.5%에 달해 전국 시도 중 2위다. 대전의 국적별 외국인은 베트남(9241명), 중국(4160명), 한국계중국인(1068명) 순이다.

2022년 기준 대전의 취업활동 외국인은 9201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 16위다. 외국인 주민 대비 취업활동 외국인 비율도 44.7%로 적은데, 이는 유치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대전시 취업활동 외국인의 평균 연간 총소득은 2975만1793원이며, 평균 연간 총소득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서울(3781만9769원)이다. 대전은 취업활동 외국인의 평균 연간 총소득이 3198만2362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높다.

대전시 전체로는 제조업(19.7%), 숙박 및 음식점업(15.8%), 교육서비스업(14.4%),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4.4%), 건설업(8.8%) 순으로 많은 외국인이 일하고 있다. 동구와 서구는 숙박 및 음식점업, 중구와 대덕구는 제조업, 유성구는 전문, 과학 기술 서비업의 비율이 가장 높다.

대전시 전문기능 외국인은 총 2751명으며, 제조업 1073명(39.1%), 연구 385명(14%), 전문인력 248명(9.1%), 일반회화강사 249명(9%), 교수 194명(7.1%) 순이다. 광역시와 비교하면 대전시의 경우 연구(385명), 교수(194명) 전문 기능 외국인의 분포가 가장 크다.

지방소멸에 대한 대안도 일하는 외국인 포용이 중요하다. 실제로 감사원은 전국 시군구 228곳 가운데 소멸 위험이 있는 지자체가 2021년에는 108개에서 2023년에는 113으로 늘어났다며 이는 전체 지자체의 49.3%로 절반에 달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도시로 이주한 젊은 층을 외국인들이 채우고 있어서 지방 소도시와 농촌 인력 해소에 도움이 되고 있다.

외국인도 한국에 오래 거주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어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에서 온 외국인도 단기가 아닌 장기 체류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대전은 농업 인구가 적고, 제조업 기반이 약하다 보니 타 도시에 비해 일하는 외국인 수가 부족하다. 하지만, 국내 추세를 보면 장기적으로 대전도 외국인 수용을 위한 정책 정비가 필요하다"면서 "대전은 연구인력 외국인들도 있는 만큼, 계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잘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3.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4.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5. 대전 교육공무직 결원 채용은 교원 부담… 체계적 선발시스템 절실
  1. 대전 중구, 문화2동 공영주차장 조성 완료
  2. [DSC 공유대학] '공동학위·산학협력·공공기관 연계' 지역 인재 양성 중심 '우뚝'
  3. (사)대전시지체장애인협회-(주)아이씨푸드 장애인 드론교육 입교식
  4. NST 김영식 이사장 취임 조직 개편·인사 단행… 미래전략소통실 신설
  5. 송강사회복지관 ‘사랑해孝 설잔치’

헤드라인 뉴스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경제 성장 역행한 대전 고용시장…맞춤형 지원정책 시급

대전 고용시장이 최근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에 치중된 데다, 청·장년층 인구 감소세 등이 고용시장의 위축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고용시장의 경직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야기하기 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경제조사팀이 3일 발표한 '최근 대전지역 고용 상황의 주요 특징 및 평가'에 따르면 대전은 2023년 하반기 이후 전국 및 5대 광역시 대비 양호한 경제 성장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서비스업..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 지난해 무역수지 1위… 수출 926억 달러로 2위

충남도가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와 수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의 지난해 수출액은 총 926억 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1614억 4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출액이다. 2023년 793억 9300만 달러에 비해 16.6% 증가한 규모다. 충남은 2023년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시장 침체로 인해 자동차·화물선 호황 수혜를 입은 울산에 수출 2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나 2024년에는 반도체 호황과 정보통신(IT)·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에서의 호실적, 도의 공격적인 해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10년간 쌀 소비량 15% 감소 전망... 밥 지어먹는 사람 줄어든 원인

향후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15%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게 원인으로 꼽힌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 톤, 2026년 269만 톤, 2030년 253만 톤, 2035년 233만 톤 등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를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하면 14.7% 적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이다. 2014~2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특수도 옛 말’…한산한 꽃 도매시장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